[G20] ‘단골’ 네덜란드 빠지고 ‘새 얼굴’ 싱가포르 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서울행 티켓이 확정됐다. 그동안 G20은 네 차례 정상회의를 열면서 관례적으로 비회원국을 초청해 왔다. ‘지구촌 유지 클럽’인 G20의 정통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G20 참여국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은 것도 비회원국을 초청하게 된 배경이다. G20 정상회의의 모태인 G20 재무장관 모임은 경제규모와 지역 등을 고려한 선택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세계 10위권 대국이면서 G20 비회원국인 스페인이 연이어 초청장을 받았다.


G20 정상회의에 초청받느냐, 못 받느냐는 G20 비회원국엔 외교적으로 ‘사활’을 걸 만큼 중요한 일이다. G20은 금융위기 이후 ‘프리미어 포럼(Premier forum)’으로서 최고의 국제경제 협의체로 부상했다. 실제로 많은 개도국이 서울 G20 정상회의의 초청 리스트에 포함되기 위해 우리 정부와 G20 회원국들을 상대로 치열한 물밑 외교전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까지 열린 네 차례의 G20 정상회의에 참여했던 네덜란드가 초청 대상에 빠진 것은 지역적 배분을 감안해야 한다는 주장 때문이다. G20에는 이미 다수의 유럽국가와 유럽연합(EU)이 포진해 있다. 유럽의 강소국이자 금융강국인 네덜란드는 공식·비공식 채널을 통해 G20 의장국인 한국 정부에 서운함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덜란드의 탈락에 대해 한국 정부는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국이 독자적으로 결정한 것이 아니라 G20 교섭대표인 셰르파 회의를 통해 전체 G20 차원에서 초청국을 선정했기 때문이다.

5개 비회원국과 함께 유엔·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금융안정위원회(FSB)·국제노동기구(ILO)·경제협력개발기구(OECD)·세계무역기구(WTO) 등 7개 국제기구도 이번에 초청을 받았다.

한편 정상회의 의제 조율차 프랑스를 방문 중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중국 위안화 절상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것이라고 23일(현지시간)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파리에서 로이터통신과 인터뷰를 하고 “오픈 포럼인 G20의 특성상 환율 문제에 관한 일반적인 해결방법이나 환율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논의할 수 있다”며 “그러나 특정 국가의 환율에 관해 논의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