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뇌막염 발생 은폐 의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중국 대륙에서 유행성 뇌막염이 확산되고 있다. 지방정부들이 유행성 뇌막염 발생 사실을 숨겨 초기에 잡지 못하고 전국으로 번지고 있다고 중국.홍콩 언론들이 보도했다. 2년 전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이 퍼졌던 상황과 비교해 달라진 게 없다는 지적이다.

◆ 은폐 의혹=홍콩의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는 2일 "중국의 안후이(安徽)성에선 지난해 12월 20일부터 뇌막염이 발생했으나 성정부는 지난달 31일에야 중국의 다른 지역과 홍콩.마카오에 이를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위생부도 지난달 31일 "올 1월 중 248명의 뇌막염 환자가 발생해 16명이 숨졌다"고 발표하면서 긴급 통지문을 각 지역에 내려보냈다. 중국 관영 인터넷 매체 신화망(新華網)은 "위생부의 뒤늦은 행동은 각 지방이 뇌막염 확산 실태를 정확하게 보고하지 않았음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광둥(廣東)성과 홍콩.마카오는 2003년 봄 사스 발생 당시 '심각한 전염병'이 발생하면 즉각 경보 시스템을 가동키로 했다. 그러나 광둥성은 지난 1일에야 "1월 중 11명이 감염돼 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홍콩 언론들은 "각 지방 위생당국이 임무를 소홀히 해 예방.방역 시기를 놓쳤기 때문에 춘절(春節.설)을 앞두고 비상 상황을 초래했다"고 비난했다.

◆ 급해진 방역활동=병원마다 자녀에게 예방주사를 맞히려는 인파가 몰려들고 있다. 감염자의 70%는 10세 안팎의 아동들이다. 춘절 대이동을 앞두고 철도부는 모든 차량에 대해 소독.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기차역.열차에 4000여명의 감시요원을 배치했다.

홍콩=이양수 특파원

*** 중국 여행땐 기침환자 피해야

질병관리본부는 2일 유행성 뇌막염이 퍼지고 있는 중국이나 필리핀 일부 지역을 여행할 때 기침을 하거나 가래가 나오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라고 권고했다. 또 군부대나 기숙사.합숙소 등 사람이 밀집해 있는 곳을 피하고, 외출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하는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해 감기에 걸리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