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공무원’ 103명 머리 맞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박사학위 취득자가 크게 늘고 있다. 공무원도 예외가 아니다. 경북도에는 이른바 ‘박사 공무원’이 몇명이나 될까. 그 현황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경북도 인재양성과가 최근 박사 공무원으로 연구 모임 결성을 준비하면서다.

경북도청 소속 공무원 중 박사학위 취득자는 현재 103명으로 조사됐다. 숫자로만 보면 웬만한 연구소나 작은 대학 하나를 만들고도 남을 인원이다. 경북도 서원호 인재양성과장은 “다른 시·도의 박사 공무원 숫자는 알 수 없지만 아마 어느 시·도와 비교해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위별로는 농학박사가 4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학박사 21명, 수의학박사 11명이었으며 공학(9)·행정학(5)·보건학(4)·문학(3)·약학(2) 등의 순이었다.

경북도의 박사 공무원은 ‘비전21 경북포럼’ 창립 모임에서 도정 선진화 실천을 다짐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박사 공무원 대표가 김관용 지사에게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부서별로는 농업기술원이 49명으로 전체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고 보건환경연구원이 20명으로 뒤를 이었다. 둘 다 연구 기능이 있는 부서다. 대신 도 본청은 박사 공무원이 13명에 그쳤다.

학위 취득 대학은 경북대가 48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북대와 함께 지역 대학으로는 영남대·계명대·대구대·대구가톨릭대·안동대 등이 있었다. 또 서울대 박사도 2명이 있고 해외 박사도 있다. 미국 아칸소 주립대와 일본의 교토대·큐슈대에서 3명이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도가 이들 박사 공무원을 적극적으로 행정에 접목하는 실험에 나섰다.

경북도는 6일 이들을 도청 강당으로 초청해 ‘비전21 경북포럼’이라는 연구 모임을 출범시켰다. 지난달 직원 5명이 한꺼번에 박사학위를 받은 걸 계기로 김관용 지사가 아이디어를 냈다고 한다. 박사 공무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차를 마시거나 소주 한잔 하며 서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전문성을 살린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인재양성과는 먼저 도청 실·과에 공문을 보내 박사 공무원의 실태를 파악했다. 그리고 전공별로 4개 분과를 만들어 분기에 한번 모임 개최를 제안하는 운영 방안까지 마련했다.

이날 창립 모임에서 회원들은 김성경 일자리경제본부장을 초대 회장으로 뽑았다. 또 경제행정·농업·축산 등 5개의 분과위원회를 만들고 분과위원장을 선임했다. 분과위 아래에는 다시 8명 내외의 소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김 회장은 “조직에 몸 담은 게 학위 취득에도 도움이 된 만큼 이제는 보답할 차례”라며 “앞으로 분과별 모임을 활성화해 당면한 도정에 실천할 만한 과제를 우선적으로 찾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적어도 연간 두 차례 박사학위가 수여되는 2월과 8월 분과위별로 하나씩 정책제안 발표회를 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재양성과는 내년 예산에 5000만원을 편성했다. 발표된 과제가 정책으로 채택될 경우 특별승진과 시상금 지급도 약속했다. 또 궁극적으로는 외부 용역 때 관련 박사 공무원이 연구원으로 참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그래야만 피부에 와 닿는 연구가 도출될 수 있고 예산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앞으로 시·군의 박사 공무원도 이 포럼에 참여시킬 예정이다. 주변에 흩어진 구슬을 꿰 참신한 정책이란 보물을 만드는 실험이다.

송의호 기자


부서별 박사학위 취득자

- 농업기술원 49명

- 보건환경연구원 20명

- 도 본청 13명

- 가축위생시험소 9명

- 축산기술연구소 5명

- 수산개발연구원 3명

- 도의회 3명

- 소방본부 2명

- 서울지사 1명

자료 : 경북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