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광고·총량제, 방송 상업주의 부추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방송광고 총량제와 중간광고 도입은 방송의 상업주의화를 제도화하는 것이다."

20일 서울 안국동 느티나무 카페에서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이사장 이명순) 주최로 열린 '방송광고제도 개선에 관한 토론회'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신태섭 동의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방송광고 총량제 등은 방송사들이 프로그램을 편성할 때 시청률을 의식하게 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광고주의 영향력을 키우며, 그에 따라 방송의 질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광고총량제와 중간광고 문제는 지난 5일 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이 광고인 신년교례회에서 도입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불거졌다.

신 교수는 "1997년 한국광고대회에서 당시 공보처장관이 중간광고 재도입 가능성을 언급한 것을 비롯해 99년, 2000년, 2001년에도 정부가 중간광고와 광고 총량제 도입을 허용하는 안을 흘려 여론을 타진하다 후퇴한 일이 주기적으로 반복돼 왔다"고 지적했다.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간광고 도입에 따른 KBS.MBC.SBS 지상파TV 3사의 광고시청량과 방송광고재원은 각각 10%, 7%씩 증가한다. 또 중간광고 없이 총량제만 도입돼도 지상파 3사가 올리는 추가 광고수입은 연간 2316억원에 달한다.

이에 대해 신 교수는 "메이저 3사의 과도한 수입증대는 언론의 다양성과 균형발전에 위협적"이라고 밝혔다. 수입증대분 중 최소한 절반 이상이 지역민방.종교방송 등 특수방송과 신문 등 이종 매체로 돌아갈 광고비가 전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여론의 독과점과 획일화의 부작용이 빚어진다는 것이다. 또 "이윤추구가 아니라 공적인 서비스 제공을 존립 목적으로 하는 공영방송으로서 KBS와 MBC의 정체성이 위기를 맞을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토론자로 나선 김영삼 MBC 광고기획부 부장은 "중간광고를 금지한 지 벌써 30년의 세월이 흘렀다"면서 "중간광고의 도입에 대해 장르별 시간대별 기준을 둬서라도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젠 시청자들의 광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고 기업 이미지 광고 등은 웬만한 선정적인 프로그램보다 오히려 공익적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