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벌 번역만 2 ~ 3주 美, 유엔과 별도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1만1천여쪽에 이르는 보고서는 봉인된 상태로 9일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된다. 공이 유엔으로 넘어간 셈이다.

보고서 한 부는 별도로 빈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에 제출된다. 보고서를 손에 쥔 안보리 이사회 15개국은 수백명의 번역사를 동원, 보고서를 번역하는 한편 무기전문가를 투입해 보고서를 샅샅이 검토한다. 보고서의 방대한 분량을 감안할 때 초벌 번역에만 2∼3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각국은 특히 이라크가 생화학무기 시설을 약품공장 같은 소위 '이중용도'시설로 슬쩍 바꿔 허위보고를 했을 가능성에 대해 눈에 불을 켜고 분석하게 된다.

물론 미국도 중앙정보국(CIA) 등 정보인력을 총동원해 보고서를 뒤질 것으로 보인다. 대량 살상무기에 대한 이라크의 허위보고 및 누락사실이 발견될 경우 이는 유엔결의 1441호에 대한 '중대한 위반(Material Breach)'에 해당돼 개전(開戰)사유가 될 수도 있다.

또 이달 말로 예정된 안보리 보고에서 한스 블릭스 유엔무기사찰단장이 "이라크가 사찰에 비협조적이다"고 증언할 경우에도 이라크 사태는 위험한 국면으로 치달을 수 있다.

최원기 기자

brent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