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날레 작가' 모처럼 국내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0면

마이클 주(36)와 김영진(41)씨는 1990년대에 국내외 여러 비엔날레에서 초대받으며 세계 화단에서 한국 미술의 위상을 높인 대표적 작가들이다. 비엔날레가 국제 미술계로 통하는 창구이자 무대가 되면서 이들 작품을 찬찬히 뜯어볼 수 있는 국내 개인전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이 두 작가가 동시에 대규모 초대전을 열어 '비엔날레 작가'가 구사하는 작품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풀 기회를 주고 있다.

오는 30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서울 화동 pkm갤러리에서 초대 작품전을 여는 마이클 주는 미국 뉴욕에서 나고 자란 한국인 2세다. 대학에서 생물학을 공부한 뒤 대학원에서 조각을 전공한 특이한 이력을 지녔다. 이 경력이 마이클 주의 작품에 배어들어 있다. 그는 재미 한국인 2세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뿌리를 찾아나서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 생물학적 에너지 소모와 기의 질서를 탐구한다.

북극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모피를 걸친 남자 형상의 조각 '뻣뻣한 남자, 쪼개지다'는 해부학 시간에 쓰이는 시신처럼 피부 아래의 모든 것을 그대로 드러내며, 그 일부는 전시공간 바닥으로 떨어져 사라진다. 에스키모의 몰락, 생명체의 덧없는 퇴장이다.

드로잉과 애니메이션은 북극 지방의 에너지 흐름과 열 손실이 인간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탐구한 과학도의 보고서라 할 수 있다. 사람이 육체와 정신을 쓰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에너지의 발생과 소모를 예술작품으로 조형화하는 셈이다. 몸에 집중했던 현대미술의 한 대목을 읽게 만든다. 02-734-9467.

영상·설치작가로 이름난 김영진씨는 30일부터 내년 1월 19일까지 서울 소격동 아트선재센터에서 지난 10년의 작품세계를 보여주는 첫 미술관 개인전을 연다.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액체-12개의 실루엣'은 고정된 화면 위를 노닐며 흘러다니는 물방울의 장력·유동성·점성 등을 잡아낸 액체의 춤이다. '그네'는 사방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한 남자가 그네를 타며 자문자답하는 여러 모습을 응시하는 과정 속에서 관람객이 한 인간의 내면에 관계하게 되는 효과를 보인다.

'글로브-아니마의 출구'는 두 개의 스크린에 각기 자연을 배경으로 비치는 남성과 여성의 이동 이미지로 남성 속의 여성성, 여성 속의 남성성을 다루고 있다. 섬세하고 정교하면서 창의적인 영상 활용으로 보는 이의 눈을 잡아끄는 작품들이다. 02-733-8945.

정재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