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등 4곳 신도시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경기도가 김포·파주, 시흥·광명, 남양주·하남, 성남·판교 등 4개 지역 1억1천6백만평에 신도시를 건설하는 구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현규 경기도 정무부지사는 14일 한국도시설계학회 주최로 건설회관에서 열린 '신도시, 어떻게 할 것인가'주제의 세미나에 참석해 마구잡이 개발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이같은 개발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규모는 ▶김포·파주 5천2백만평▶시흥·광명 3천1백만평▶남양주·하남 1천2백만평▶성남·판교 2천1백만평으로, 20∼30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지도 참조>

4개 지역 중 주거용지는 4천3백40만평(전체의 37.4%)이며, 상업·업무·벤처·연구시설·도시형 공장 용지가 1천8백60만평, 공원·녹지가 2천9백80만평, 도로 및 기타용지 2천4백20만평이다. 경기도는 이 4개 지역을 포함, 수도권에 총 6개 권역 1억6천3백만평을 도시 용도로 개발해 나간다는 구상 아래 이들 지역 전체를 '특별성장관리권역'으로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특별성장관리권역에서는 해당 지역 전체에 대한 개발계획이 수립되며, 마구잡이 개발 우려가 있는 소규모 개발은 제한된다.

韓부지사는 "대상지역 안에 그린벨트가 상당 부분 포함돼 있어 환경을 해친다는 논란이 예상되고, 기존 수도권 억제 시책과 어긋나는 측면도 있어 계획대로 실행에 옮길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라며 "하지만 마구잡이 개발을 막고 필요한 주택을 공급하려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방식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건설교통부 이춘희 주택도시국장은 "앞으로 10년간 수도권에 주택 3백만가구가 더 지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선 대규모 택지 공급이 필요하며, 2∼3곳은 신도시 형태로 건설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구체적인 대상 지역은 광범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혜경 전문기자

hk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