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와 협착증, 정확히 구분하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괴롭히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증상도 비슷해 두 질환을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허리디스크와 달리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오랜 시간 방치하게 되면 하지 마비, 대소변 장애 등 심각한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허리디스크
척추의 경우 20대 후반부터 노화가 시작되어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수핵을 튼튼하게 감싸고 있는 섬유륜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균열이 진행된 섬유륜 사이로 수핵이 탈출해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허리디스크’라 한다. 다시 말해 허리디스크는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의 수핵이 흘러나와 척추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갑작스러운 자세 변경, 허리에 무리가 가는 심한 운동, 낙상 등이 허리디스크의 원인이 된다.

▶ 척추관협착증
척추에는 척추뼈 뒤로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있는데 이를 척추관 또는 척추강이라고 부른다. 나이가 들면서 척추관 주변의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를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므로 엉치나 다리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즉,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디스크 처럼 수핵과 상관없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 자체가 좁아진 것이다.

▶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의 증상
허리디스크는 주로 한쪽 다리가 당기는 증상이 심하고 누워서 다리를 들어올리면 통증이 심해져 올리지 못한다. 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은 누워서 다리를 올리기는 쉽다. 또한 협착증은 허리를 펴면 아프고 허리를 구부리면 척추관이 넓어져 통증이 덜한 특징이 있다.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 모두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기는 하지만 허리디스크는 앉거나 서 있을 때 통증이 심하고 걷기 시작하면 통증이 잦아드는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걷기 시작하면 통증이 심해지고 100m 이상을 걷기 어려워 잠시 쉬다가 걷기를 반복해야 한다. 오랫동안 걸으면 다리가 터져나갈 것 같이 아프거나 다리에 힘이 빠져 걷기가 어렵다가도, 앉아서 쉬고 나면 괜찮아 진다.

▶ 6개월간 보존치료에도 증상호전 없으면 수술해야
허리디스크의 경우 젊은층의 환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외에는 운동을 하거나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튀어나왔던 수핵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은 노화로 인해서 신경관 자체가 좁아지는 질환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상태는 점점 악화될 수 있어 빠른 시일 내에 치료를 해야 한다.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인 치료를 우선으로 한다. 그러나 6개월간의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계속되거나, 초기임에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고령층 환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술에 대한 부담이 크기 마련이다. 최근에는 노인척추 수술법과 마취법이 발전하면서 효과적으로 노인들의 허리 통증을 치료하는 추세다.

더조은병원에서는 수면부위마취를 수술에 적용하면서 허리 수술을 받는 노인의 연령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수면부위마취는 마취 시 통증이 덜하고 회복이 빠르다는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 이는 전신마취가 아니기 때문에 부담이 적은 것은 물론, 심장이나 폐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고 시술하기 때문에 수술 도중 환자가 스스로 호흡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마취법은 수술이 힘든 고 연령층이나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등 만성내과질환을 지니고 있는 노인이라도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다.

※ 허리디스크VS척추관협착증

▶ 글/ 그림 – 더조은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이병규 원장

<본 자료는 정보제공을 위한 보도 자료입니다.>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