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대정부 투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1백12일째 파업 중인 경희의료원과 강남성모병원에 11일 새벽 경찰력이 투입됐으나 파업 노조원 재집결·집행부 검거 실패 등으로 사태 해결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해당 병원 노조들과 보건의료노조뿐만 아니라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등 노동계가 대정부 투쟁을 선언하면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어 사태는 노정(勞政) 갈등으로 증폭될 분위기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전국 1백50개 병원 노조 간부들에게 상경 투쟁 지침을 내렸다. 도심 집회 등 가두 투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는 25~27일과 다음달 16일로 계획했던 산하 병원 노조의 연대 파업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중앙 임원과 산별연맹·지역본부 대표자들이 참석한 비상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노사 자율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파국으로 몰아넣은 정권의 만행"이라며 11일부터 17일까지 규탄대회를 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은 정부 당국에 연행자 석방과 경찰 병력 투입 책임자 문책 등을 요구하고 즉각적인 노사 대화 재개로 사태 수습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그러나 연대 파업이나 총파업에 대해서는 사태 추이를 지켜보면서 추석 이후에 결정하겠다는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한국노총도 성명에서 "공권력 투입은 노조를 말살하려는 폭거"라며 "민주노총과 연대해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동부는 노사 협상을 통한 해결에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지난 8일 노동부 기획관리실장과 노사정책국장의 9시간에 걸친 중재와 9일 노동부·보건복지부·교육인적자원부 차관의 병원 방문 등 정부의 노력이 무위로 끝나는 등 노사가 좀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지난 5월 23일 임단협 협상의 결렬로 파업에 들어간 노조와 병원 측은 그동안 협상을 통해 임금 등 임단협 사항은 의견 접근을 이루었으나 주동자 해고 등 파업으로 파생된 문제들을 놓고 팽팽히 맞서 있다.

경찰력이 투입된 두 병원 외에 제주 한라병원·제천 정신병원·목포 가톨릭병원·부산 고신의료원 등 4개 병원도 장기 파업 중이다.

이무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