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北특사 '韓·美 엇박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워싱턴=김진 특파원, 서울=전영기·오영환 기자]지난달 29일 북한의 서해 도발 이후 미국의 대북(對北) 특사 파견문제를 놓고 한·미간에 인식차이가 노출되고 있다.

미국은 한국 정부가 북한의 도발 직후에 특사파견을 예정대로 추진해줄 것을 요청했는데도 파견을 철회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3일 "미국에 북·미간 대화 재개를 서둘러줄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이 당국자는 "북·미 대화의 재개가 한반도 안정에 중요하다는 우리 정부의 판단엔 변화가 없다"고 덧붙였다.

북한 도발로 인해 현 정부의 대북 유화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대되면서 햇볕정책이 위기에 빠져들고 있다. 이같은 정세변화로 당분간 한반도 정세는 불안정해질 조짐이다.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은 2일 기자들과 만나 "서해상에서 유혈 군사충돌이 있었다"면서 "우리는 북한 함정이 남쪽으로 월경해 도발했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근거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관계기사 3면>

그는 "다만 북한의 도발이 의도적인지, 아니면 우발적인지를 말할 입장에 있지 않다"며 "그러나 이는 정전협정 위반"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리처드 바우처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특사의 방북 문제와 관련, "우리는 서해의 격렬한 교전으로 북·미회담을 진행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생겼다는 점을 북한에 통보했다"며 "특사 제안은 협상테이블에서 사라졌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의 대북 대화재개 정책은 살아있으며 북한과 통상적인 접촉을 유지하기를 기대한다"고 했으나 대화 재개 일정에 대해선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서해교전에 대해 남한에 사과하면 분위기가 바뀔 것인가"라는 질문에 "북한이 취하는 행동은 사태를 보는 우리 시각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특사방북 제안은 이미 사라졌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그러나 외교 경로를 통해 북·미간의 대화재개가 한반도 정세의 안정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미국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미국이 이른 시일 내에 북한에 특사를 파견토록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임성준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3일 "미국이 특사를 보낸다는 입장은 변치 않은 것으로 안다. 이른 시일 내에 우리가 (미국으로)가든, (미국에서) 오든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