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성장률 둔화에 시장이 과민반응”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73호 24면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위험은 크지 않다.”
미국 경제분석기관인 콘퍼런스보드의 중국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윌리엄 애덤스(사진)의 말이다. 그는 지난달 29일 글로벌 증권시장을 떨게 한 ‘중국 경기선행지수’를 산출하는 책임자다. 이날 그는 “4월 경기선행지수가 전달보다 1.7%포인트 증가한 것이 아니라 0.3%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고 발표했다. 마침 유럽 재정위기에 주눅 들어 있던 한국 등 아시아 주가가 일제히 떨어졌다. 중앙SUNDAY는 상하이에 상주하고 있는 애덤스에게 전화를 걸어 인터뷰했다.

美 콘퍼런스보드 중국 주재 이코노미스트 윌리엄 애덤스

-선행지수를 왜 수정했는가.
“계산 착오 때문이었다. 중국 건설회사들이 짓는 건물 연면적을 보여 주는 데이터가 잘못됐다. 그런데 우리는 수정 이전에도 중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무슨 뜻인가.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가파르게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11.9%였다. 앞으로 6개월 뒤 성장률이 그 이상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도 있다는 얘기인가.
“그렇지는 않을 듯하다. 우리 선행지표는 중국 성장률이 계속 높아질 가능성이 크지 않음을 보여 줄 뿐이다. 성장률이 완만해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 정부의 긴축정책 때문인가.
“베이징(중국 정부)은 은행 등에 전화를 걸어 건설회사 등에 돈 빌려 주는 것을 통제(창구 지도)하고 있다. 이런 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내고 있다고 본다.”

-중국 정부가 지나치게 긴축해 침체를 야기하지는 않을까.
“오버킬(overkill·과도한 긴축)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베이징은 중국 경제가 꾸준하게 성장하길 바란다. 중국 지도자들이 말하는 조화로운 사회를 위해 어느 정도 성장률은 필수적이다.”

-올해 중국 성장률은 어느 정도나 될까.
“콘퍼런스보드는 중국 경제가 올해 9~10%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정도면 중국 정부가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성장률이다.”

-유럽이 긴축으로 침체에 빠지면 중국도 영향받지 않을까.
“중국은 유럽시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 않다. 더욱이 요즘 중국 경제는 내수를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리스가 채무불이행을 선언하면 중국이 다시 침체에 빠질 수도 있지 않을까.
“아주 극단적인 상황이 벌어질 수는 있다. 하지만 (그리스 디폴트 선언이) 미국발 금융위기처럼 중국 경제 성장률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상하이·서울·도쿄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
“우리 선행지수뿐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단 중국 상하이 증시는 너무 과민하게 반응한 듯하다. 그래서 우리는 중국 주가지수를 경기 예측에 쓰지 않고 있다.”

-콘퍼런스보드 선행지수가 부정확하다는 지적도 있다.
“일부 월가의 경제 분석가들이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경제 통계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불신이 지나치다고 생각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