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틴 온라인 교실] 소득 2만달러 앞당겨진다는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Q : 요즘 달러 약세로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가 앞당겨진다는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요. 또 1인당 국민소득은 어떻게 산출하는지 궁금해요.

<독자 조경호>

A : 국민소득은 달러로 표시하기 때문에 환율의 영향을 받게 마련입니다. 일본도 1980년대 중반 1인당 2만달러 시대를 맞았는데 이때 엔화 강세의 덕을 본 측면이 있습니다. 우리도 달러 약세로 원화가 강세를 보이면 달러 표시 국민소득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렇다고 국민의 구매력이 높아진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해외에 나가 물건을 구매하거나 국내에서 수입품을 살 때는 효과를 보겠지만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국민총소득(GNI)을 총인구로 나눈 것입니다. GNI는 경제 영역으로 본 우리나라의 소득이 얼마인지를 따져보는 것입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기여한 생산을 빼고 국내 기업 및 개인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합친 개념입니다. 총인구는 그 해의 평균인구 개념입니다. 그해의 중앙에 있는 날, 즉 연앙(年央)인구로 추산하는데 그해 7월 1일 현재 총인구를 기준으로 합니다.

GNI는 경제규모를 보여주는 지표지만 국민의 생활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는 1인당 GNI로 봐야 합니다. 2003년 우리나라 GNI는 6061억달러로 세계 10위였습니다.

이종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