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주변 북한通 드물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대선 후보들은 대북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관련 인맥은 타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그나마 후보에게 정보와 조언을 주는 사람은 정부에서 대북관련 업무를 다뤄본 경험자가 대부분이다. 그동안 대북창구가 정부로 일원화됐던 때문이기도 하다. 후보들은 학계의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구체적으로 이름을 드는 것은 꺼리는 상황이다.

◇대북관=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상호주의·국민 합의와 투명성·용도 검증이란 대북지원 3원칙을 제시한 바 있다.

그래야 북한의 실질적 변화를 유도해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 국가혁신위원회에서 마련한 안을 기초로 한 것이다.

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기본적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과 3단계 통일론을 지지하고 있다. 흡수통일에는 반대하며,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는 등의 큰 원칙은 있지만 각론은 보완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이다.

◇빈약한 인맥=후보측은 유재건 외교특보와 천용택 전 국정원장, 장영달(張永達)의원 등을 중심으로 공조직을 통해 대북관련 정책을 다듬어 갈 생각이다.

후보측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대학과 연구기관 등의 북한관련 전문가 5~6명과 수시로 접촉해 조언을 받아왔다"고 설명했다.

후보는 당내 정보통인 정형근 의원을 통해 북한관련 정보를 듣고, 송영대·김석우 전 통일원 차관 등과 대북정책 얘기를 나눈다. 서울대 P교수, 한승주 전 외무장관, 현홍주 전 주미대사 등도 후보에게 도움을 주는 인사다.

김종필 총재측은 "북과 선이 닿는 직접적인 인맥은 없지만 조지 부시 전 미 대통령 등 미 공화당 인맥을 활용, 북한과 선이 닿을 수 있다"고 했다. 한국미래연합 박근혜 창당준비 위원장은 이번 방북을 계기로 유럽-코리아재단 장 자크 크로와 이사장이라는 든든한 조력자를 얻었다. 朴위원장 측은 "안보·대북으로 나뉘어 P씨 등 4~5명의 전문가 집단이 있다"고 말했다.

송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