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파업 비상 勞使 밤샘 협상 이견 못좁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철도·발전·가스 등 공공부문 노조가 25일 파업 돌입을 선언한 가운데 정부와 각 노사는 24일 밤부터 25일 새벽까지 막판 교섭을 벌였다.

노사 양측은 실무 협상을 통해 근로조건 개선 등 상당수 사안에서 의견이 접근했으나 공기업 민영화 같은 쟁점에는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해 일부는 파업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국철이 파업에 들어가면 수도권 전철의 수송 능력이 크게 떨어져 출근길 교통 혼란이 예상된다.

<관계기사 3,31면>

정부 관계자는 "파업이 시작돼도 가스·발전의 경우 대체 인력이 있어 당장 에너지 공급이 끊기는 사태는 일어나지 않겠지만 철도는 운행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방용석(方鏞錫)노동부 장관은 한국노총·민주노총 위원장 등 노동계 인사들과 만나 극적인 합의 도출을 시도했다. 정부는 또 중재안을 마련, 노사에 제시하면서 타결을 유도했다.

발전 부문의 경우 야간 근무를 위해 오후 3시30분까지 복귀해야 할 운전요원 6백여명이 근무지에 나타나지 않아 수백명의 대체 인력이 투입됐다. 노동부 관계자는 "사실상 발전 노조의 부분 파업이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노동위원회는 발전 노조에 대해 15일간 파업을 금지하는 직권중재 결정을 내렸다. 가스 부문의 경우 주요 쟁점에 사실상 타결했다.

3대 공공부문 노조와 민주노총은 오후 2시 서울 여의도에서 노조원 1만7천여명(경찰 추산)이 참가한 가운데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했다. 대회가 끝난 뒤 철도 노조원 2천여명은 건국대에, 발전·가스 노조원 7천여명은 서울대에 집결했다. 또 양대 노총 지도부와 공공노조 위원장 등은 서울 명동성당에 모여 밤 늦게까지 농성을 계속했다. 경북 영주 등 각 지역의 철도 노조원들은 사업장별로 파업 결의대회를 열었다.

정부와 사측은 파업에 대비해 긴급대책반을 구성하고 대체 인력을 확보하는 등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경찰 병력 7천여명은 전국의 차량기지·발전소·가스공급시설 등 중요 시설에 배치됐다. 정부는 국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비상수송 대책을 마련,파업시 서울지하철·버스·항공 등을 증편 운행하기로 했다.

한편 3대 국가기간산업 노조는 지난 22일 ▶공기업 민영화 철회▶근로조건 개악없는 주5일 근무제 도입▶근로조건 개선 등을 주장하면서, 이를 관철하기 위해 25일 총파업하겠다고 결의했다.

임봉수·정용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