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6·2 - 교육감] 경기 김상곤 “공교육 정상화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김상곤(가운데) 경기도교육감 후보가 2일 밤 선거사무실에서 부인 엄소현(왼쪽)씨와 함께 환호하고 있다. [경기신문 제공]

“이명박 정부의 무한경쟁 교육, 서열주의 교육에 대한 대안을 목마르게 기다렸던 것입니다.”

‘1호 진보 교육감’으로 통하던 김상곤(60) 현 경기도교육감이 재선에 성공했다. 임기는 2014년까지 4년간이다. 김 당선자는 사실상 이번 선거에서 ‘무상급식’을 내걸고 전국 진보 교육감 후보들을 결집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6곳 중 12곳에서 진보 단일 후보를 추대한 것이다. 곽노현(서울)·이청연(인천) 후보가 김 당선자의 ‘혁신학교’를 모델 삼아 ‘수도권 혁신교육벨트’를 만들겠다고 했다. 친환경 무상급식, 학생 인권 조례 등 ‘김상곤표 공약’을 벤치마킹했다. 김 당선자는 “진보진영 후보가 전국 5곳 이상에서 강세를 보여 경기도가 보여준 미래지향적 교육을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년간 전교조·민주노총·민주노동당 등이 지지한 단일 후보로 정부와 입장을 달리해왔다. 자율고 설립 등 정부 교육정책에 반대하는 대신 고교 평준화와 공교육 혁신을 통해 ‘차별받지 않는 교육정책’을 주장해왔다. 학생 모두에게 1대 1 맞춤 교육을 하는 혁신학교는 학급당 학생수 25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로 현재 33개교가 지정돼 있다. 김 당선자는 “공교육을 정상화시켜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게 1순위”라며 “2012년까지 혁신학교를 200곳까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교조 등의 요구대로 의정부·광명·안산 등 비평준화 지역은 2012학년도부터 평준화 지역으로 바뀔 전망이다. 또 “지역주민들의 수요가 있는 수지·시흥·김포 지역 또한 평준화제도 전환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했다.

민주노동당에 가입하거나 시국선언에 참가한 전교조 교사의 징계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그는 “법대로 징계위원회를 열되 사실 관계와 형평성 문제를 따져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당선자의 핵심 공약인 무상급식이 어디까지 실행될지도 관심사다. 지난해 경기도에서는 무상급식에 관한 예산을 도교육의원과 도의원들이 번번이 전액 삭감해 연천군 등 일부 농어촌 지역에서만 실시됐고, 경기도와의 협조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원진·김민상 기자

※ 사진 혹은 이름을 클릭하시면 상세 프로필을 보실 수 있습니다.[상세정보 유료]
※ 인물의 등장순서는 조인스닷컴 인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순서와 동일합니다.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경기도교육청 교육감

1949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