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개최’ 베이징서 접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남북한이 지난 3개월여 동안 비선(秘線)조직을 통해 남북정상회담 개최 및 남북 경색 국면 타개를 위해 다양한 접촉을 가졌다고 복수의 베이징(北京) 소식통들을 인용, 문화일보가 3일 보도했다.

그러나 이같은 접촉들에서 북한이 ▲남북경색 국면의 원인을 제공한 지난 7월의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의 10주기 조문 불허 조치에 대한 한국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와 ▲적지 않은 규모의 획기적 경제 지원을 강력 요구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소식통들은 설명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문화일보에 따르면 북측은 경제 지원에 대해서는 "국민 1인당 조금씩 성의를 보이면 되지 않겠느냐"면서 꽤 많은 액수를 희망했다는 것. 이 과정에서 한국의 대북 특사 파견 등 현안도 심도있게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특히 북한은 김 전 주석 조문 불허와 관련한 사과에 대해서는 어떤 양보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 이의 해결 없이는 남북경색 타개가 불가능하다는 비관적 자세를 보이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에 따르면 남북간의 다양한 접촉에 나선 주역들은 주로 한국의 일부 국회의원과 북한 민족경제협력련합회(민경련) 인사들을 제외하고는 양측 모두 비공식 채널이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측에서는 일부 경제인들이 중개역을 자처했다는 것이 소식통들의 주장이다.

신문은 또 지난달 25일 현 정권 핵심 M 의원과 김대중 정부 당시의 실세 L씨의 베이징 방문이 예정됐다는 점 등 양측 접촉은 일시적으로 상당히 진전되는 분위기를 타기도 했다고 전했다. 상당한 고위급으로 알려진 북측 대화 파트너들은 당시 이미 베이징에 도착했으나 북한측의 요구에 대해 남측이 거부함에 따라 곧 철수했다고 한다.

이외에 베이징의 모 북한 고위 인사가 한국의 C의원과 접촉한 사실이 한국 언론에 보도돼 평양 당국으로부터 엄중 경고를 받은 사실 역시 최근의 접촉이 상당히 비밀리에 심도있게 논의됐다는 사실을 방증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와 관련, 북한 소식에 정통한 베이징의 한국 업계 소식통들은 "북한의 요구 사항은 간단하다. 조문 불허에 대한 진지한 사과와 경제 지원"이라면서 한국의 일정한 양보가 있을 경우 연내에라도 한국의 대북 특사 파견 확정은 가능할 것이라면서 오히려 공은 한국이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디지털뉴스센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