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대시기 주내 결론날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신사년 마지막 날 열린 민주당 당무회의에서는 조기에 전당대회를 열자는 주류와 반대하는 비주류간의 표 대결이 벌어졌다.

이날 한광옥(韓光玉)대표는 당무회의가 대선후보 선출과 관련한 당헌.당규를 개정할 권한이 있는지로 논란이 벌어지자 표결을 단행했다.

표결 결과 참석한 60명 가운데 42명이 개정권이 있다는 데 찬성했다. 이인제(李仁濟)고문 등 주류측이었다. 한화갑(韓和甲).김근태 고문과 쇄신연대측은 당무회의에 권한이 없으며 반드시 1월 전당대회를 열어 당헌.당규를 고쳐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힘겨루기에서 李고문측이 승리를 거둔 셈이다. 이날 표결로 내년 초 당무회의에서 전대 시기가 포함된 쇄신안을 표결로 처리할 가능성은 한층 커졌다.

표 대결은 한화갑 고문측의 조성준(趙誠俊)의원이 "의사진행 발언을 하지 말라" (金明燮의원)는 제지에도 불구하고 "당무회의는 전당대회에서 위임받은 안건에 대해서만 처리할 수 있다. 전대에서 당헌.당규 선출을 위임한 적이 없지 않느냐"고 주장한 데서 비롯됐다. 그러자 장성원(張誠源)의원이 "이미 이틀에 걸쳐 토론한 문제 아니냐. 표결을 하자"고 요구했다.

이 말이 떨어지자 韓대표는 "표결을 선포한다"고 전격 선언한 뒤 기립표결에 들어갔다. 잠시 소란이 벌어졌고, 분위기가 험악해지자 쇄신연대측의 이재정(李在禎)의원은 "당무회의가 강압적이고, 자유롭지 못하게 진행돼 유감"이라고 반발했다.

양측은 지도체제 문제로도 설전을 벌였다. 박광태(朴光泰)의원은 "(지도체제 문제로)한달 열흘을 보냈다.표결이 왜 민주주의가 아니냐"며 표결을 재촉했다. 그러나 韓고문 측근인 설훈(薛勳)의원은 "여야간에도 합의처리를 한다"고 맞섰다.

격론 끝에 지도체제 문제는 선출직 7명과 임명직 2명으로 최고위원회를 구성하고, 최다득표자를 대표최고위원으로 하는 쪽으로 잠정결론이 났으나 후보선출 시기와 중복출마 허용문제는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韓대표는 "차기주자들과 접촉을 하고 있다"며 "1월 3일 상임고문단 회의를 열어 모두가 승복할 수 있는 안을 마련한 뒤 4일 당무회의에서 전체 문제를 매듭짓겠다"고 사실상 비주류에 최후통첩을 했다.

강민석 기자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