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 등 수돗물 불소화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충북도가 충치예방을 위한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확대시행키로 하자 시민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충북도내 각계 인사 30여명으로 구성된 ‘청주 수돗물불소화 중단을 위한 시민행동(대표 최상일 생태교육연구소장)’은 17일 창립식을 갖고 “청주시는 수돗물 불소화를 즉각 중단하고 도는 이의 확대 시행방침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시민행동은 앞으로 불소의 위험성을 알려 저지키 위해 반대캠페인,1인 시위,1만명 서명운동,공개토론회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돗물불소화 사업은 현재 청주와 옥천에만 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도는 내년부터 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아 다른 시 ·군으로도 확대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시민행동 관계자는 “불소가 수돗물에 비록 미량 투입되더라도 50%가량은 인체에 축적되기 때문에 장기간 마시면 뼈에 해롭다는 학계의 주장이 있다”며 “아직 유해성이 입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민을 실험대상으로 삼는 불소화사업은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관계자는 그러나 “수돗물불소화는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고 60여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업”이라며 “불소화수돗물이 갑상선과 뼈에 질병을 일으킨다는 주장을 근거없고 충치예방효과가 있는 것이라는 학계의 보고가 나온 만큼 정부방침에 따라 확대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청주시는 1982년부터 수돗물에 0.8㎎/ℓ단위로 불소를 투입해오고 있으며 정부는 불소화를 원하는 자치단체에 시설비 1억원과 약품구입비의 30%를 지원하고 있다.

청주=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