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는 아름다워] 건축가들의 무대 디자인 매너리즘에 따끔한 일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지난 주말 북한강변 두물워크숍에서 열린 '모던 스테이지 세팅' 전시회에 다녀왔다. 발상을 전환할 좋은 기회였다.

두물워크숍은 서울에서 팔당을 지나 양수리에서 대성리 방향으로 가는 북한강에 접해 있다. 작지만 꽤 알찬 복합문화공간으로 타이틀이 특이하다. 박완수 대표는 "워크숍은 창조적인 활동을 통해 뭔가 만들어 낸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두물은 양수리의 옛 지명 두물머리에서 따왔다. 예술에 대한 열정 하나로 기업가에서 변신한 박씨는 1996년 사재를 털어 이 공간을 마련했다.

그 동안 두물워크숍은 설립 목적에 맞는 대안적이며 실험적인 작업들을 꾸준히 선보였다. 음악.무용.문학.미술.연극 등 장르에 구속되지 않는 크로스오버 프로그램이 다수를 이룬다.

이번 '모던 스테이지 세팅'도 장르 넘기 시도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의욕적인 자리다. 국내외 유명 건축가들의 영감이 빚어낸 오페라 무대 디자인 전시다. 오페라 등 공연예술 무대 디자인은 그 집단에 속한 전문가만의 영역만이 아니라는 점을 드러냈다. 편견과 관습의 너머에 존재하는 무한한 창의성을 이 전시는 웅변했다.

김헌은 '노르마'의 신화적인 공간을 올림픽공원 내 몽촌토성으로 옮겼고, 전인호는 '니벨룽겐의 반지' 난쟁이 미메의 동굴을 중첩된 목제 프레임으로 표현했다. 여성건축가 김주령의 '토스카'와 해외 참가작 두 편은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3차원 입체 영상의 추상적 이미지로 상상력을 북돋웠다.

공연예술은 무대 공간에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의 한 축이 이야기라면 다른 한 축은 이미지다. 무대 디자인은 이 이미지 구축의 핵이다.

여태껏 공연계에서 이 작업은 주로 몇몇 전문가의 몫이었다. 매너리즘도 슬쩍 눈감아 줄 수밖에 없는데 '모던 스테이지 세팅'은 이 상투성에 일침을 가했다. 반응이 좋아 12월 4~11일 서울로 옮겨 출판사 열린책들 사옥에서 전시한다.

정재왈 공연평론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