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탁회의 첫날 "합의 쉬운 것부터 풀어가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 열린우리당 천정배,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와 양당 정책위의장 등이 24일 오후 국회에서 민생·경제법안 및 새해 예산안 처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원탁회의를 하고 있다. 조용철 기자

"100% 만족이 안 되더라도 경제 활성화를 위해 자기 입장을 굽히면서 합의했으면 좋겠다."(열린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

"그간 진정한 대화와 타협이 없었다. 이 자리를 계기로 합의하기 쉬운 것부터 풀어가자."(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

여야 간 대화 정치가 재가동됐다.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24일 민생과 경제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민생경제 원탁회의'를 했다. 17대 국회에서 처음. 각 당에선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대변인 등 6명씩 12명이 참석했다. 한나라당이 전날 열린우리당의 제안을 수용키로 한 데 이어 이날 아침 양당 수석부대표가 만나 기금관리기본법.국민연금법.민간투자법.한국투자공사법안 등 경제 법안부터 논의키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첫 회의에서 양당 대표 모두 '대화'와 '타협'을 강조했다. 하지만 결실이 많지는 않았다. 수도 이전 위헌 결정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국회 내 지역균형발전특위를 구성키로 합의한 것 정도다.

양당이 우선시하는 법안부터 달랐다. 열린우리당은 기금관리기본법.사회간접자본에 대한 민간투자법 개정안 등을 꼽았다. 한나라당은 국가건전재정법.감세 관련 법안 등을 강조했다. 공정거래법안을 두곤 한나라당이 재논의를 요구했으나 열린우리당이 거절했다. 이 과정에서 "열린우리당이 공정거래법을 날치기했다"고 하거나(한나라당 이한구 정책위의장), 삿대질을 해(열린우리당 박영선 대변인) 고성이 오갔다.

회의 형식이나 민주노동당.민주당.자민련 등 비교섭단체(의석 20석에 미달하는 정당)의 참여 여부도 논란이었다. 한나라당은 "사안별로 특위를 구성하자"고 했으나 열린우리당이 "기존 상임위와 다를 바 없다"며 거부했다. 열린우리당은 "원탁회의에 비교섭단체도 참여시키자"고 한 반면 한나라당은 "특위에 참여시키자"고 맞섰다.

회의를 마치고는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박영선 대변인), "신뢰를 쌓아가는 자리였다"(한나라당 임태희 대변인)고 말했다. 원탁회의는 25일 다시 열린다.

고정애 기자 <ockham@joongang.co.kr>
사진=조용철 기자 <youngc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