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커닝' 정확히 예상하고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교육인적자원부가 올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광주에서 벌어진 휴대전화 커닝 수법을 정확히 예측하고 시.도교육청과 정보통신부.경찰청 등에 경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는 이에 따라 정통부 전파이용제도과,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관계자들과 대책을 수립하려 했으나 부처 간 손발이 맞지 않아 회의가 무산됐다. 이 때문에 제대로 대처만 했더라면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부정행위 방지 대책을 논의하면서 시험지가 유출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광주에서 발생한 수법과 같은 부정행위 유형이 가장 유력할 것으로 검토됐다"며 "그러나 고사실에 전파차단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시.도교육청 등에 보냈던 '수능 부정행위 방지 대책' 문건은 광주에서 일어난 수법 외에 ▶소형 무전기를 이용해 조직적으로 수험생에게 정답을 알려주는 행위▶휴대전화.호출기(삐삐)를 몰래 갖고 있다가 시험 도중 화장실에 가 문자를 주고받은 뒤 다시 고사실에 들어와 답을 적는 행위 등의 가능성을 경고했다.

정부는 23일 시.도 부교육감 회의에 이어 24일에는 시.도교육감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교육부.행정자치부.정통부.경찰청 등 관계 기관 합동의 '휴대전화 이용 수능 부정행위 방지 대책반'을 구성해 24일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