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학생들, 지방선거 참여 나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10일 오전 대전시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캠퍼스에서 학생들이 지방선거 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보고 있다. [김성태 프리랜서]

6.2지방선거 6일 오후 4시 대전시 유성구 구성동 한국과학기술원(KAIST) 캠퍼스 내 학부 기숙사. 이 대학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구자현(3학년·20)씨가 기숙사 현관 데스크에 비치된 전입신고서 한 장을 집어들었다. 전입신고서는 지난달 말 카이스트 총학생회가 6·2지방선거를 맞아 투표참여 캠페인의 일환으로 비치했다. 주소를 카이스트로 옮겨 투표에 참여하자는 취지다. 충북 청주에 주소를 두고 있는 구씨는 전입신고서를 작성해 학생회관에 있는 총학생회 사무실에 제출했다.

총학생회는 학생들이 작성한 전입신고서를 한꺼번에 모은다. 그런 다음 전입신고서를 유성구청으로 들고가 전입신고를 대행해준다. 김범준(21) 카이스트 총학생회 대외협력국장은 “현재 학부 생 4000여명가운데 10%정도가 전입신고를 마쳤다”고 말했다. 구씨는 “한꺼번에 8명의 지역 대표를 선발하는 이번 지방선거에 참여, 지역사회와 캠퍼스의 변화에 기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과학인재를 길러내는 카이스트 총학생회가 6·2지방선거 참여 운동에 나섰다. 여기에는 학부와 대학원 총학생회가 모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대전 이외 지역 출신 학생들에게 주소를 대전으로 옮길 것을 독려하고 있다. 또 교내에 부재자 투표소 설치도 추진하고 있다.

카이스트 학부 박승(21·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4년) 총학생회장은 “청년실업 문제 등으로 젊은이들의 정치적 무관심은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치 무관심으로 유권자로서의 권리마저 포기하면 결국 피해는 젊은 학생들에게 돌아온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방선거는 우리 지역 살림살이를 책임질 일꾼을 뽑는 축제”라며 “제대로 된 지역 일꾼을 뽑아 학생들의 권익을 찾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이스트에는 학부 4000여명, 대학원 6000여명 등 모두 1만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그러나 재학생 가운데 90%이상이 주소를 대전에 두고 있지 않다.

양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주소 이전을 돕기 위해 기숙사 11개 동에 전입신고서를 비치했다. 또 전입신고가 어려울 경우 부재자 신고를 해서 대전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캠퍼스 곳곳에는 주소이전을 권하는 내용의 플래카드 20여 개를 달았다. 또 총학생회 사이트 등 교내 온라인을 통해 투표 참여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대전=김방현 기자
사진=김성태 프리랜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