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대한항공·제주마씸·무안양파 등 ‘국가명품’우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브랜드란 단순한 상품의 이름표가 아니다. 일종의 ‘진화하는 생명체’ 같은 것이다. 잘 키우면 신용도가 높아져 소비자들이 많이 찾고 이것이 다시 좋은제품으로 생산자에 피드백 된다. 이로써 제품의 철학이 생겨나고 명품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를 ‘윈-윈’ 시켜주는 이미지다.

올해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브랜드는 무엇일까? 또 브랜드 경쟁력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어떨까?

국내 각 생산주체가 갖고 있는 브랜드를 국가의 자산으로 보고 소비자 입장에서 그 가치를 다원적으로 평가한 결과가 나왔다.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지식경제부와 중앙일보의 후원으로 국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1250개,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534개 등 총 1780여 유·무형 브랜드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인식 조사를 통한 평가를 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국내 브랜드의 글로벌경쟁력 육성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브랜드 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고의 ‘국가브랜드(National Brand)’로서 사례를 제시할 계획이다.

소비자인식 조사는 지난해 12월부터 국내 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브랜드에 대한 현황 등의 기초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되었다. 각계 전문가의 분석절차를 거쳐 ‘NBA브랜드경쟁력지수’를 산출했다. NBA 브랜드경쟁력지수는 NBA(National Brand Awards) 평가를 위해 개발된 지수로써 국내 고유브랜드의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 브랜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미래 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이란 국내외의 구분이 사라진 통합된 하나의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의미한다. 국내 각 기업의 브랜드와 지역브랜드의 경쟁력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다. 지역브랜드는 1995년 민선 지방자치제도 실시이후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기업과 지역브랜드를 망라하여 조사된 이번 NBA 조사결과 기업브랜드에서는 정관장·이마트·롯데월드·대한항공·한국타이어·SK텔레콤의 T·청정원·놀부 등이 각 부문에서 두드러진 평가를 받았다. 또 지역브랜드에서는 경기도의 지마크·제주마씸·무안양파·영광굴비·황토배기G수박·전통문화도시 안동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NBA 브랜드 조사는 브랜드별 특성까지 감안한 ‘다면적 설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분석을 통하여 브랜드간 객관적 경쟁력 비교평가와 전략적 브랜드 관리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NBA선정위 관계자는 “NBA 브랜드경쟁력지수는 차원별 지표평가와 브랜드 이미지 개선요소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며 “다양한 차원의 평가항목을 통해 산출된 각 부문 1위는 브랜드의 위상과 경쟁력이 종합적으로 우수하며 다가오는 글로벌통합시장에서 경쟁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우수하다고 소비자로부터 평가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NBA 브랜드평가, 어떻게 이뤄졌나=NBA 브랜드 평가는 크게 국내 기업과 지역 브랜드에 대한 경쟁력을 브랜드 인지·이미지·선호도·만족도·글로벌경쟁력 등의 다섯 개 차원에서 분석했다. 또 이 다섯개 큰 틀 아래 각각의 하부차원의 평가항목에 근거하여 국내 소비자들이 직접 평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계량화하여 지수(NBA 브랜드경쟁력지수)화 한다. 브랜드 특성에 따라 브랜드 인지평가는 최초상기도·비보조 인지도·보조 인지도 등으로 짜여져 있다. 브랜드 이미지항목에서는 브랜드 신뢰감·친근감·차별성·혁신성·독창성 등을 봤다. 브랜드 선호도부문에서는 구매의도·재구매의도·브랜드추천·브랜드애착 등을, 브랜드 만족도에서는 품질 만족도·자아 만족도·서비스 만족도 등을 측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글로벌 경쟁력은 소비자가 생각하는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이미지 등을 평가하였다. 지난 해 12월부터 지난 4월 3일까지 기초조사와 브랜드평가를 위한 소비자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전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지역·연령·성별 인구비례 등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역별 참여자 수를 제한함으로써 결과의 객관성을 높혔다.

박찬영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