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서울 용산·강남 아파트값 소폭 상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서울 아파트값 하락 폭이 3주 연속 감소했다. 주택거래신고제 일부 해제 등의 영향 때문이다. 하지만 수도권과 신도시에는 찬바람이 여전하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와 텐커뮤니티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아파트값은 그 전주에 비해 서울 0.05%, 신도시 0.13%, 수도권 0.08% 각각 떨어졌다.

서울은 3주 전 -0.11%에서 2주 전 -0.09%, 지난주 -0.05%로 10월말 이후 낙폭이 줄고 있다. 용산.강동.강남구가 한 주 새 0.06~0.21% 올랐다. 강남구 개포우성 1차 65평형은 18억~19억2000만원, 선경 1차 57평형은 15억5000만~17억4000만원으로 세금정책의 타깃이 되고 있는 고가 아파트인데도 각각 2000만원 정도 뛰었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종합부동산세와 1가구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조치가 당초보다 약화돼 고가 아파트는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용산구에선 이촌동 대림 33평형이 4억~5억2000만원으로 2500만원 올랐다.

반면 강서.송파.도봉.구로.노원구 등 15개 구는 매매 값이 떨어졌다.

신도시는 소형과 대형 아파트값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10~30평형대는 0.13~0.58% 내렸지만 40~60평형대는 0.05~0.18% 뛰었다. 분당 한솔마을 주공 22평형은 1억5000만~2억원으로 2000만원 떨어졌고, 푸른마을 금호 72평형은 6억7000만~8억9000만원으로 4000만원 올랐다. 수도권은 수원.과천.광명.김포.평택시 등이 약세를 보였다.

전셋값은 서울 0.12%, 신도시 0.25%, 수도권 0.16% 떨어지며 전 주보다 하락 폭이 커졌다. 비수기에 접어들며 전세수요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다. 염창동 벽산늘푸른 24평형은 750만원 내렸고, 가양동 강나루현대 32평형도 1000만원 빠졌다.

서미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