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당국 시대 못따라 수십만 수험생 피해"

중앙일보

입력

"아이에게 할 말이 없습니다. 너도 12년 죽어라 공부하지 말고 부정해서 기회주의적으로 살라고 해야 할까요?"(수험생모), "너희들의 수능관리 능력을 믿고 나는 3년이라는 시간을 고등학교 과목과 씨름했다. 그런데 이번 사태는 무엇이란 말인가. 사람을 우롱하는 것인가?"(넘하네)

이번 수능시험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조직적 부정행위가 벌어진 것으로 드러나면서 교육부 홈페이지가 또다시 떠들썩해졌다. 각종 인터넷 뉴스 포털 사이트도 마찬가지다. 네티즌들은 "이미 수능 전부터 예견됐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당국이 이를 막지 못해 수십만 수험생에게 피해를 끼쳤다"고 분노했다.

김정훈 씨는 광주시 교육청 홈페이지에 "시험이 쉽다고 해 점수가 오르고도 낙담하고 있는 수험생이 태반인 상황에 수능부정행위를 한 학생들이 밝혀지니 기운이 빠진다"며 "학생에 비해 교육청이 너무 시대를 못 따라간다"라고 꼬집었다.

"수능부정행위에 대한 소문은 전국적으로 파다했다. 범죄의 치밀함을 볼 때 전국적 브로커 조직이 분명히 있을 것이므로 경찰은 수사를 전국으로 확대하라"(이럴수가)는 촉구도 이어졌다.

한편 이번 사건이 광주 지역에서 일어난 것을 두고 인터넷 상에서 과도한 지역감정 싸움의 조짐이 보이는 것에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수능부정인데 지역감정 운운하는 사람들의 지적수준이 의심된다"(loyroel)라고 꼬집기도 했다.

네티즌들은 휴대폰을 이용한 부정행위를 막을 기발한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많은 호응을 얻은 것은 주변의 부정행위를 신고하는 사람, 이른바 '수파라치'(수능 파파라치)에게 포상을 주자는 아이디어. "부정행위를 신고한 학생을 대통령의 이름을 걸고 보호해주고 보상하자"(mege), "적발한 사람에게 대입에서 인센티브를 주자"(kwindy1) 등의 아이디어가 잇따랐다.

공익근무요원이나 군인 등을 동원해 시험감독관수를 지금보다 크게 늘리는 방안도 제시됐다.

휴대전화 사용을 원천봉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교문에 전자감식대를 설치해 휴대전화 반입을 막아야 한다"(acconite), "시험시간 중 전국 수험생의 통화.문자 내역을 조사해야 한다"(mhj48mhj) 등의 의견이 나왔다.

또 교육부가 인권침해 시비 등을 우려해 고심중인 몸수색에 대해서도 'jack_pot' 등의 네티즌들은 "동의를 얻고 몸수색을 하면 되는 것으로 정당하게 시험을 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동의할 것"이라고 찬성했다.

디지털뉴스센터.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