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林장관 해임안 표 대결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회 관계자들은 임동원 통일부 장관 해임건의안이 국회 표결에 부쳐질 경우에 대해 "계가(計家)는 간단하다" 고 말했다. 해임안이 가결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얘기다.

해임안이 통과되려면 재적(2백71명)과반수인 1백36명 이상의 지지를 얻으면 된다. 현재 한나라당의 의석수는 1백32석. 4석만 보태면 되는 수치다. 여기에다 자민련에서 적어도 16표 가량의 찬성이 나올 전망이다.

민주당에서 이적한 의원들(4명)은 두명이 해임 반대, 두명이 입장 표명 유보다. 따라서 찬성은 1백48석 안팎으로 늘어난다. 한나라당 내에서 김원웅(金元雄)의원 정도가 해임 반대 의사를 밝히고 있고, 두명이 유보적 입장이나 대세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실제 안영근(安泳根)의원 등은 "소신을 고집할 사안이 아니다" 며 당론에 따를 뜻임을 밝혔고, 이부영(李富榮).서상섭(徐相燮)의원측도 명확히 반대표를 던질 의사를 비추지 않았다.

민국당 김윤환(金潤煥)대표도 '자진 사퇴' 를 요구했고, 김용환(金龍煥)한국신당 대표도 해임안 처리에 동조할 뜻을 비추고 있다. 무소속 강창희(姜昌熙)의원도 찬성 쪽에 가세할 가능성이 있어 찬성은 1백50표를 넘어설 수도 있다.

민주당(1백14석)으로선 사면초가(四面楚歌)상황이다. 반대가 1백20표를 넘기 어려운데다 내부에서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 내부에선 "항상 표결에 이길 수 있느냐. 결과에 상관없이 정치적으로 승리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盧武鉉상임고문)는 말도 나온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장관 해임건의안이 가결된 사례는 임철호 농림부 장관(1955년).권오병 문교부 장관(1969년).오치성 내무부 장관(1971년) 등 세번이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