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속 방북허용 문제 불렀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평양=공동취재단, 오영환.고정애 기자] 평양 8.15 남북 민간 공동행사인 '민족통일대축전' 에 참가 중인 남측 대표단 일부가 북의 조국통일 3대헌장 기념탑 앞 행사 참석 사태를 놓고 정부의 졸속 방북 허가에 대한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일부 인사의 개막식 참석으로 물의를 빚은 뒤에도 남측 대표단은 16일 밤의 축전 폐막식 참석 여부를 놓고 또 논란을 벌였다.

대표단은 일단 폐막식엔 전원 불참했으나 통일연대 소속 60여명이 오후 9시30분쯤 폐막식 후에 열린 야회(夜會)에 참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방북 승인 조건에 '기념탑과 관련된 행사에는 일절 참석하지 않는다' 는 대목이 있다" 면서 야회 참석도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 "정부가 책임져야" 〓이 기념탑은 고려연방제 등 북한의 통일이념을 선전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어서, 정부는 이곳에서 벌어지는 행사에는 참가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방북을 허용했다.

한나라당 장광근(張光根)수석부대변인은 "통일운동을 빙자한 반국가 행위가 벌어진 데 대해 정부가 책임져라" 고 추궁했고, 민주당 전용학(田溶鶴)대변인도 유감을 표시한 뒤 "정부는 앞으로 경위와 진상을 조사해 국민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취하길 바란다" 고 요구했다. 자민련 변웅전(邊雄田)대변인은 "참가 관련자들은 물론 이를 허가한 통일부 관계자들도 책임져야 한다" 고 지적했다.

◇ 정부 대응〓기념탑 앞 행사에 참석한 인사들은 "각서는 대표들만 썼다" 고 주장하면서 기념탑 개막식 행사에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기념탑 행사 참가는 남북교류협력법 위반이 된다" 면서 "이들이 귀국하면 참가 경위를 조사할 방침" 이라고 말했다.

◇ 공동행사는 예정대로〓남북 양측은 16일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열린 일본의 역사 왜곡 및 침략 전시회를 관람한 뒤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