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정찰총국서 천안함 공격 정황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군·국가정보원 등 정보 당국이 천안함 공격 배후가 북한 정찰총국이라는 심증을 굳히고 이를 주도한 총국 내부 관련 인물을 추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격에 북한 잠수정급(잠수정 및 반잠수정)이 동원된 사실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정보 관계자는 “정부는 그동안 관련 보도를 부인했지만 정보 당국은 정찰총국을 배후로 보고 잠수정 몇 척이 동원됐고 어떻게 작전을 했는지, 작전 참가자가 누구인지 등 구체적 상황을 파악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 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진척이 있는 것으로 듣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 과정에서 김정일의 후계자로 거론되는 김정은-오극렬 국방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이어지는 라인이 작전을 주도한 정황도 잡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찰총국은 인민무력부의 정찰ㆍ작전 기능 등을 통합, 2009년 2월 국방위원회 산하에 신설한 조직으로 업무는 오극렬을 통해 김정일에게 직보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소식통은 “김정일이 김정은에게 의지하는 정도가 더 커지고 있다”며 “정은의 성격은 김정일보다 더 거칠고 대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보 관계자는 “인양된 천안함의 절단면 조사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외부 공격 사실’을 입증하는 것일 뿐 ‘누가 공격했느냐’를 알아내긴 쉽지 않다”며 “정보 당국은 북한 내부 정보망을 이용, 총국 내 공격 주도 세력을 찾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정보 관계자는 “정찰총국이 동원한 작전 수단은 잠수정으로 꼽고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원세훈 국정원장은 6일 국회 비공개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이 연관됐다면 정찰총국이 했을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2일 잠수정 공격과 관련,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 때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장성민 전 의원은 “나는 초기부터 정찰총국이 반잠수정을 이용해 공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사태는 ‘4차 서해교전’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성규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