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중문과 교수들 '기초학문 사랑' 훈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교수들이 21년간 한푼 두푼 모은 돈을 제자들의 장학금으로 내놓았다.

서울대 인문대 중어중문학과(학과장 宋龍準)교수들 얘기다.

인세(印稅).외부 강의료 등을 적립해 마련한 1억5천만원을 올 2학기부터 중문과 대학원생과 대학원을 지망하는 학부생들을 위해 쓰기로 결정한 것이다.

학기당 1천만원씩 연 2천만원을 나눠주게 되며 장학금 이름은 따로 없다.

외부 도움 없이 학과 교수들이 마련한 '은사 장학금' 인 셈이다.

유례도 없는 일이지만, 특히 이렇다할 연구비조차 없는 '가난한 학과' 전(全)(현직 8명.퇴임 4명)교수들의 '제자 사랑' 이란 점에서 교내에 화제가 되고 있다.

모금이 시작된 건 1980년. 지금은 정년퇴임한 김시준(金時俊.66).최완식(崔完植.70) 두 교수가 "언젠가 학과 발전을 위해 쓸 돈을 모아보자" 며 계좌를 만들었다.

이후 학과장 명의로 통장이 대물림되면서 10만원에서부터 많게는 백만원 단위까지 돈이 쌓였다.

이 돈을 장학금으로 쓰기로 한 것은 최근 교내의 기초학문 분야 왜소화 논란이 계기가 됐다.

지난 5월 인문대 교수들의 집단성명이 나올 때 중문과 교수들은 "우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부터 해보자" 고 뜻을 모았다.

이미 학교를 떠난 선배 교수들도 "적어도 학생들이 학비 걱정만은 하지 않도록 하자" 고 취지를 설명하자 모두 흔쾌히 동의했다고 한다.

중문과의 경우 IMF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 특수(特需) 때문에 매년 대학원 선발인원(현재 10명)의 4~5배가 지원했었다. 그러나 2~3년 전부터 졸업생들이 취업쪽을 택하면서 최근엔 서울대 중문과 학부 졸업생 중 두세명만이 진학하고 있다. 그래서 외부 지원자들로 근근이 정원을 맞춰가고 있는 형편.

더욱이 내년부터는 모집단위 광역화로 전공 학부생 모집도 쉽지 않으리라는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학과장 宋교수는 "비록 많지는 않지만 전 교수들이 긴 세월 동안 참여해 만든 기금이라는 데 보람을 느낀다" 며 "후배들에게 용기가 되기를 바란다" 고 기대했다.

이 학과 박사과정 유경철(32)씨는 "선배들의 정성이 깃들인 돈으로 꿋꿋하게 학문에 정진할 힘을 얻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교수들은 지난 23일 6백여 동문들에게도 편지와 e-메일을 보내 장학금 모금에 동참할 것을 권유했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