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깊이읽기 BOOK] 예술은 말한다, 금지하는 것을 금지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예술, 법을 만나다
박홍규 지음
이다미디어
464쪽, 1만8000원

“법전은 악마의 성경”(하이네). “좋은 법률가는 나쁜 이웃”(마틴 루터). “(법학을 공부한 이유는) 인간에 대한 무관심을 체험할 수 있는 직업을 찾기 위해서”(카프카).

이런 인용구를 찾아내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있다. 전방위적 집필가 집단의 대표적 인물, 박홍규 영남대 교수(법학)가 ‘예술의 자유와 법의 구속’을 주제로 책을 엮었다.

법에 대한 증오가 예술가의 소양이라 할 만큼 양자는 적대관계에 있다지만, 그런 극단적 ‘관계’ 탓에 법과 대결한 예술작품은 많다. 대표적인 예가 ‘금서 목록’이다. 예술을 자의적으로 금할 수 있는 권력을 법이 방조한 탓에 단테의 『신곡』,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 까지도 여러 국가에서 한 때 금서 목록에 올랐다. 역사적 금서의 목록을 모으자면 세계문학전집이 될 판이다. 하지만 여기까지는 예술과 표현의 자유를 말하는 흔한 사례들이겠다.

저자의 ‘위트’는 다른 곳을 찌르고 있었으니, 세계사적으로 유명한 이 금지된 작품들이 한국에서는 단 한 번도 금서인 적이 없었다는 지적이다. 스페인의 프랑코 독재 정권은 괴테나 스탕달조차 금서로 규제한 나름의 ‘수준 있는’(?) 감식안을 지녔으나 우리의 군사정권들은 이 저자들을 금할 만한 식견도 없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정신 나간 외국 문학 사대주의와 무식한 국내 예술 금지 행정이 공존하는 희한한 나라가 한국”이라고 꼬집는다. 하긴, 스페인 내전 중 공산주의자들의 내밀한 세계를 그린 조지 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가 한국에서 출판된 게 1984년이었으니 말이다. (물론 1930년대 국제공산주의 운동에서 ‘스탈린의 적’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좌절을 그린 이 작품을 ‘반공 소설’로 분류해 허용했다면 제법 ‘식견 높은 실책’이겠다.)

이 책은 법과 정의에 관련된 문학·영화·미술·오페라 작품들의 두툼한 DB(데이터 베이스), 혹은 다이제스트다. 책에서 가지를 뻗어 해당 작품들까지 이어지면 법과 예술을 고민하는 훌륭한 안내서가 된다. 거론되는 작품이 방대한 만큼 이 책만으로 끝내려고 든다면 논의가 도중에 끊어져 다소 미진한 감이 있다.

배노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