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봉은사 직영’ 논란 … 총무원·사찰 양측에 재가연대, 공개토론 제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18일 불교계 재가단체인 참여불교재가연대(재가연대) 교단자정센터가 기자간담회를 열고 ‘서울 강남 봉은사 직영사찰 지정’에 대해 총무원과 봉은사 양측에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김동건 상임대표는 “불교계는 법정 스님 원적 이후 추모의 분위기로 가고 있다. 그런데 강남 봉은사가 다시 논란의 불씨가 되고 있다”며 “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양측에서 3인씩 나와 ‘직영 사찰 지정’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본지 3월 10일자 27면 보도>

조계종 총무원은 11일 중앙종회 의결을 거쳐 봉은사를 특별분담금 사찰에서 총무원 직영사찰로 전환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봉은사 측은 이에 대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직영 사찰이 되면 조계종 총무원장이 당연직 주지를 맡아 재정을 직접 관리한다. 재가연대 김원보 대표는 “봉은사 직영사찰 지정은 충분한 토론의 장을 거치지 못했다. 총무원 측에 종무회의에서 결의할 때 썼던 서면 서류를 요청했으나 구두로만 논의하고 결의했다는 대답을 들었다”고 밝혔다. 재가연대 측은 총무원과 봉은사, 양측에 공개토론 제안서를 보낸 뒤 다음주 초까지 답신을 기다릴 방침이다.

김 상임대표는 “봉은사는 오랫동안 종단 분규의 현장이었다. 또 다시 봉은사가 그런 분규의 시작점이 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했다. 그는 “총무원은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봉은사 신도들은 무척 분노하고 있다. 사전에 토론의 장이 있었으면 좋았다. 그런데 그런 과정이 생략됐기에 지금이라도 공개적인 토론의 장을 마련해 ‘왜 봉은사가 직영 사찰이 돼야 하나’ ‘지정 후에는 어떻게 운영하나’ ‘재정 투명화는 어떻게 보장할 건가’ ‘종단의 취약점으로 불리는 수도권 도심 포교 활동은 어떻게 할 건가’ 등에 대한 논의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