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ic English]Now,you see…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미국에서 장사를 하는데 어려움 중의 하나는 법적인 규제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구멍 가게를 새로 열기 위해서는 장애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을 갖춰야 한다.이런 규제의 엄격함,모든 것을 법제화하는 전통은 미국이란 나라의 출발에서부터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미국 최초의 정착민들(settlers)은 메이플라워(Mayflower)호를 타고 1620년 매사추세츠에 있는 플리머스(Plymouth Massachusetts)에 도착한 1백2명의 Pilgrims(순례자)였다.

종교의 자유를 찾아 목숨을 걸고 대서양을 건너온 이들이 신천지에 도착해 제일 먼저 한 일은 메이플라워 조약(Mayflower Compact)을 만든 것이었다.

당시 남자들 41명이 서명한 조약은 정착민들이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규약이다.이러한 규약·규범 만들기와 지키기라는 법치주의·준법정신은 오늘날까지 미국인들의 마음속에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A:Is everything going well with your new store?(새 가게는 잘 돼?)

B:I can't believe that there are so many different regulations to open a new store.

(새 가게를 여는데 그렇게 많고 다양한 규제들이 있다는 게 도저히 믿기지 않을 정도야.)

A:What's wrong?(뭐가 잘못 되었어?)

B:I need to install a restroom to accommodate handicaps with wheelchair.(장애자들 휠체어에 맞추기 위한 화장실을 만들어야 해.)

A:Wow,it would take up a quarter of the available space.(우와,화장실 전체 공간의 4분의 1은 차지하겠는데.)

B:Now,you see what I'm up against! (이제 내가 어떤 처지에 놓여 있는지 알겠지.)

‘accommodate’는 ‘맞추다’는 뜻으로 명사형 ‘accommodation’은 ‘숙박/편의 시설’이란 의미.‘handicaps’는 ‘장애인’이란 뜻의 통칭.요즘은 이를 구분해 ‘육체적인 장애인’은 ‘physically challenged’,‘정신적 장애인’은 ‘mentally challenged’라고 한다.

‘up against’는 ‘(어떠한 상황에) 직면하다/처하다’란 뜻의 숙어.동사구로는 ‘run up against’라고도 사용한다.

조영재

e-mail: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