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국토 균형 개발의 전기 삼아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헌재의 위헌 결정으로 수도 이전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그렇다고 수도 이전의 원인으로 지적돼온 수도권 과밀 완화와 국토 균형 발전의 당위성마저 사라진 것은 아니다. 또 수도 이전지로 지정됐던 충청권이 떠안게 된 상실감과 허탈감을 씻어줄 정책도 반드시 필요하다.

국토 균형 개발이란 측면에서는 헌재의 결정이 수도 이전이라는 소용돌이에서 간과한 문제점을 돌이켜보고 새로운 전략을 세울 수 있는 또 하나의 전기가 된 셈이다. 정부가 하루빨리 충격에서 벗어나 국토 균형 개발은 수도 이전과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할 과제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균형 개발 계획을 전면적으로 다시 짤 것을 촉구한다.

우선 거시적으로 주변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국토 균형 개발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 개성공단 준공으로 물꼬를 트기 시작한 북한은 물론 중국.일본.러시아와의 향후 경협 방향을 염두에 두고 국토 개발 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또 국토 재개발과 동시에 산업구조 개편도 검토해야 한다 그래야 균형잡힌 국토 개발이 이뤄지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국에 우위를 빼앗기고 있는 제조업을 어느 정도로 유지하고, 어느 지역에 입지토록 할 것인지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남해안을 관광벨트로 만들어 수도권에 대항할 만한 거점으로 만든다든가, 새만금은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도 차제에 본격적으로 논의해 볼 만하다. 특히 어느 지역에 어떤 산업을 특화하는 기업도시를 만들 것인지도 이 같은 원칙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엇보다 수도 이전 기대감으로 한껏 고양됐던 공주.연기 지역에 대해서는 수도권 대학 유치 혹은 과천.대덕에 이은 제4의 행정도시 건설, 공공기관 이전 등 후유증을 치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