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음식물 쓰레기,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그렇다면 버려지는 음식물의 경제적 가치는 얼마나 될까. 음식물을 생산·유통·조리하는 단계에서 소모되는 비용과 부가가치 등을 감안할 때 음식물 쓰레기에 묻어가는 비용이 연간 18조원이나 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연간 6000억원이 소요되며, 그 발생량은 연간 3%씩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버려지는 총 비용은 이보다 훨씬 더 많다. 음식이 만들어지기까지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환경오염과 온실가스가 발생해 환경비용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식료품의 생산·수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량은 푸드마일리지(음식수송량X수송거리)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에너지 소비는 많아지고 온실가스 발생량은 증가한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음식물의 푸드마일리지는 50억t/㎞(평균 100㎞ 수송 가정)에 불과한 반면, 수입 음식료품의 경우는 2480억t/㎞로 국내 수송에 비해 50배에 이르고 있다. 이는 영국·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보다도 높은 수치로 그만큼 우리가 음식물 수입에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뜻이다.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악취 및 수질오염으로 인한 국민 불편까지 감안한다면 음식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훨씬 늘어날 것이다.

이처럼 음식물 쓰레기에는 많은 사회적 비용이 담겨 있다. 단순히 ‘푸짐한 상차림’을 좋아하는 것이 우리 고유의 문화라고 하여 음식물 쓰레기 발생으로 인한 낭비를 그대로 두고 볼 수만은 없다. 먹을 만큼만 주문하고, 부족할 경우 추가 주문하고, 남은 음식은 싸가는 등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간단히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음식점 입장에서도 불필요한 반찬을 줄이는 등 건전한 음식문화 확산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정부도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낭비 요인을 줄이고,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요한 음식문화 실천을 유도하고자 관계 부처 합동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모든 지방자치단체로 전면 확대하고, 가정·음식점·집단급식소·호텔 등 다양한 발생원에 따른 분야별 맞춤형 대책도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소형·복합 찬기를 보급해 ‘먹을 만큼 덜어먹는’ 여건을 조성하고, 농수산시장 쓰레기 종량제 등을 유도해 나갈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국민적 인식 변화가 절실하고 음식문화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소형·복합 찬기를 사용하는 음식점을 애용하고, 적정량의 음식을 주문하는 등 모든 국민의 작은 실천이 선진 음식문화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하는 길이다.

이병욱 환경부 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