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동북아 오일허브항으로 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울산항이 동북아 오일허브항으로 개발된다.

17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식경제부는 ‘동북아 오일허브 울산지역 사업’의 비용부담 주체를 가리기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이달 중 착수한다. 이 사업은 울산지역에 1만2000명의 일자리와 9조567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 지역경제 견인차로 꼽히면서도 6000여억원에 이르는 항만개발사업비 부담주체를 놓고 난항을 겪어왔다.

지식경제부는 15억원의 예산으로 이달중’ 용역에 착수, 연내에 이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울산 남·북항 일원의 지형·지질조사, 구체적인 사업비 규모, 사업비 확보방안 등 사업전체의 방향을 점검하는 용역이다. 지난해 9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예비타당성 조사결과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절차다.

연말쯤 결과가 나오는 대로 비용부담 주체 등을 확정하고 내년중에 실시설계 등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가게 된다.

이 사업을 주도할 한국석유공사도 자체적으로 1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조만간 지경부와 유사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치권에서는 민자 유치와 국비 확보가 난항을 겪자 석유공사가 이를 부담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울산시도 조만간 2억여원으로 ‘오일허브 연관산업 활성화방안 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 울산항만공사(UPA) 도 1억7000여만원으로 ‘UPA 역할과 대응방안’ 용역에 나설 방침이다.

이 사업은 SK에너지, S오일 등 석유업체를 기반으로 울산항 일원에 3000만배럴 규모의 석유저장탱크를 설치해 동북아지역의 석유거래 중심지 역할을 맡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KDI에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한 결과 올해부터 2020년까지 2조495억원을 투자하면 매년 18.94%의 수익이 발생하고 울산지역에 1만2000명, 전국적으로 3만70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수익성 높은 사업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그러나 수익성이 우수하다는 예비 타당성 조사결과가 되레 사업추진에 발목을 잡았다. 총 2조495억원의 투자액 가운데 기반시설인 항만개발 사업에 필요한 6400여억원의 부담자를 놓고 의견이 엇갈린 것이다.

석유공사·지식경제부는 “국가 기간 인프라인 만큼 국가가 부담해야한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기획재정부는 “수익자 부담원칙을 벗어나 막대한 국고지원을 하면 특혜시비에 휘말린다”며 난색이었다.

주봉현 울산시 정무부시장은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 울산은 액체 물류는 물론 그동안 불모지나 다름없던 금융·서비스 산업도 획기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