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EU 정상회의서 ‘그리스 해법’ 논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은 6일 회원국의 경기부양책을 계속 추진하기로 6일(현지시간) 합의했다.

짐 플래허티 캐나다 재무장관은 이날 캐나다 극지 도시 이콸루이트에서 G7 재무장관회의 폐막 기자회견을 하고 “우리는 경기부양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며 “출구전략은 경기가 회복한 뒤에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다만 참석자들은 이미 공개된 부양책 외에 추가 대책을 시행할 계획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국가 부도까지 우려되고 있는 그리스의 재정위기에 대해선 G7 차원의 별도 대책을 마련하지는 않았다. 유럽중앙은행 장클로드 트리셰 총재는 “그리스가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재무장관 그룹 의장은 “그리스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G7 재무장관은 특히 앞으로 금융회사가 자국 정부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아 회생할 때는 그에 걸맞은 수수료를 물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미국 정부가 월가 금융회사에 적용하기로 한 것으로 G7 재무장관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G7 국가들은 아울러 “아이티에 대한 각국의 모든 부채를 탕감할 것”이라고 밝혔다. G7 국가들에 대한 아이티의 부채는 과거 수차례 경감 노력으로 이미 대폭 줄어든 상태다.

아이티의 외채는 8억9000만 달러 정도인데, 이 가운데 41%는 미주개발은행, 27%는 세계은행이 각각 빌려준 것이다. 지난해 6월 채권국 모임인 파리클럽은 회원국에 대한 아이티의 부채를 2억1400만 달러 정도로 줄이는 데 합의했다. 미국·유럽연합 등 24개국 중앙은행 총재들도 7일부터 이틀간 호주 시드니에 모여 회의를 연다. 이 모임에서도 각국 중앙은행 수장들이 유럽발 재정위기에 대해 의견을 나눌 것으로 보인다.

이어 11일로 예정된 EU 특별 정상회의에선 그리스를 비롯해 스페인·이탈리아 등 일부 유로존 국가의 재정 악화 문제가 깊이 있게 논의된다.

지난해 12월 리스본조약 발효와 함께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에 취임한 헤르만 반롬푀이가 11일 특별 정상회의를 소집하면서 내건 주요 의제는 회원국 재정 건전성, 출구전략, 기후변화 대응 등이다. 그동안 경제상황이 급격히 나빠졌음을 감안하면 출구전략은 의제가 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회원국 재정 건전성과 유로존 위기 해소 방안이 이날의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다.

뉴욕=정경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