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정보화 수준 낙제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부산의 정보화 수준이 낙제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는 올해를 '디지털 원년' 으로 정해 '인터넷과 컴퓨터를 가장 잘 다루는 부산시' 를 만들겠다고 했다.

연초에 '부산 정보화 기본계획' 을 세워 산업.행정.생활.네트워크 등 4개 부문에 걸쳐 정보화를 강화했다.

인터넷으로 지방세를 고지하고 납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디지털 부산카드를 보급하는 한편 인터넷 방송시스템도 구축해 시범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도메인 소유 건수가 서울의 6.8%인 1만9천여 건밖에 안되는 등 아직 정보화가 걸음마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공무원 넷맹 많아=부산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부산시 고위공직자들은 상당수가 '넷맹' 이다. 고위 공무원은 거의 대부분 이 메일이 없다.

부산시가 최근 제출한 행정자치부 지자체 정보화수준 종합평가 자료에 따르면 전자 결재율은 70%를 밑돌고 있다.

정보화 자격증을 가진 시청 직원은 전체(1천4백80명)의 27%인 4백 명에 불과하다. 부산시 정보화 정책도 문제다.

시는 정보화 기본계획을 세우면서 후속 실천방안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아 '무늬만 정보화' 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 고영삼(高永三)박사는 "부산시 정보화 기본계획은 잘 돼 있지만 담당 공무원의 디지털 마인드 부족과 예산 지원이 안돼 제대로 추진되지 않고 있다" 고 말했다.

◇ 시민단체 정보화 낙후=부산지역 시민단체의 컴퓨터 이용 수준은 걸음마 단계다. 주로 공문 작성이나 전자 우편(이 메일)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내부 사무 중심이다.

일반 기업에 비해 디지털 마인드가 뒤떨어지고 있다. 컴퓨터 기종은 대부분 펜티엄급으로 바꿨으나 전용회선이나 고속회선을 이용하는 단체는 1백30여 곳 중 20여 곳에 불과하다.

정보화 담당부서나 책임자가 있는 곳이 없다. 부산시가 지난달 부산지역 여성단체 65곳을 대상으로 정보화 실태를 조사한 결과 홈페이지를 구축한 곳은 10곳(15%)에 불과했다. 76%는 컴퓨터조차 없다고 응답했다.

컴퓨터 통신장비 시설도 열악해 인터넷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곳이 40%나 됐다. 31%는 전화모뎀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관광업계도 취약=한국관광협회중앙회에 따르면 부산지역 3백여 곳의 여행사 중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운영하는 여행사는 10여 곳에 불과하다. 서울은 여행사 1천9백여 곳 중 20%에 가까운 3백50여 곳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부산은 운영 중인 홈페이지마저 내용이 부실하고 업 데이트가 늦다. 인터넷을 통해 고객이 여행안내.상품정보 등 정보를 제대로 받을 수 없게 돼 있다.

소프트웨어산업도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가 지난 7월 부산지역 4백76개 소프트웨어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3백72개 업체가 자본금 5천만원이하의 소규모로 나타났다.

또 3백72곳은 개인기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벤처기업으로 지정된 업체수는 86개에 불과했다.

부산시 배수태(裵樹泰)정보통신담당관은 "부산시는 2005년까지 정보화 사업에 국비와 민자.시비 등 총 3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며 " 이 사업이 끝나면 부산시민들은 보다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고 밝혔다.

김관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