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대정읍 평화대공원 조성사업 ‘흔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알뜨르 비행장. 일제하 조성된 군사시설로 현재 20기의 비행기 격납고와 방공호·대공포 진지 등이 남아 있다. [프리랜서 김영하]

제주도가 추진 중인 평화대공원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사업 부지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알뜨르’ 비행장 터의 소유주인 국방부와 부지 이관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서귀포시 대정읍 상·하모리 일대 185만㎡에 2017년까지 국비 285억5000만원, 지방비 285억5000만원, 민자 177억원 등 총 746억6800만원을 투입하는 제주평화대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43년 일본 본토를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비행장 시설과 20기의 격납고, 4개의 대공포 진지, 지하 벙커, 방공호 등을 활용해 역사문화관광지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비행장 부지에 남아 있는 군사시설은 농산물 저장고로 활용되고 있다. 땅은 일부 농민이 국방부로부터 빌려 농사를 짓고 있다.

도는 이곳에 전망 데크와 평화전시관, 평화의 광장, 평화 상징 조형물, 청소년수련시설 등을 세울 방침이다. 2005년 ‘세계평화의 섬’을 선포하며 주요 사업으로 선정, 기본계획을 세우고 지난해 도시관리계획 정비 용역을 끝냈다. 지난해 4월 국무총리실의 지방재정 투·융자 심의를 끝내는 등 정부차원의 사업승인도 받았다.

그러나 사업 대상 부지의 91.2%를 차지하는 ‘알뜨르’비행장 터(168만2200㎡)에 대해 제주도가 무상 양여를 요구하고 있지만, 국방부·공군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

도는 “주민들의 땅을 일제가 강제 징발한 것이므로 이 참에 제주도로 돌려 주는 게 맞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국방부 등은 제주도에 설치할 예정인 ‘공군 남부 탐색구조부대’의 대체 부지를 요구,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부대의 대체 부지 해결은 제주도 신공항 계획이 확정돼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신공항은 아직 정부 차원의 확답을 얻지 못한 상태다.

글=양성철 기자 , 사진=프리랜서 김영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