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백두대간 '환경 벨트'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1천4백㎞를 뻗어내린 국토의 등뼈 백두대간을 보전하는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환경부는 7일 도로 건설과 광산 개발 등으로 훼손되고 있는 백두대간을 보전하기 위해 2002년까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관리 범위를 설정하고 권역별 관리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가칭 '백두대간보전법' 제정도 추진키로 했다.

환경부는 우선 지리산~진부령의 남한쪽 백두대간 6백70㎞ 구간을 중심으로 국토의 20~30%를 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자연생태계 등 지역 특성에 따라 3개 권역으로 구분해 권역별 관리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백두대간 주능선을 중심축으로 양쪽 수평거리 7백m까지를 절대보전구역으로 지정, 모든 개발사업을 금지키로 했다.

또 주능선축에 접한 생태계 우수지역은 개발을 최대한 억제하는 완충지역으로 지정.보전할 계획이다.

완충지역 바깥쪽 기타지역 가운데 국립공원 등 생태계 우수지역과 생태자연도 1, 2등급 지역은 환경성 검토를 엄격히 적용하는 등 보전 위주로 관리할 방침이다.

한편 환경부는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국도.지방도 등으로 단절된 백두대간 생태계를 다시 잇기 위한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치사업과 석산.광산 개발로 훼손된 지역에 대한 복원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현재 남쪽지역만 47개의 포장도로가 백두대간을 지나고 있으며 양수댐.송전탑 건설과 온천.리조트 건설, 석회광산 개발 등으로 많은 곳이 훼손돼 보전이 시급한 상황이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