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수상자 이미 결정…10월 13일 발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27일(현지시간) 올해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를 이미 결정, 다음달 13일 오전 11시 수상자를 발표한다고 밝힘에 따라 수상자가 누구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올해는 1901년 노벨 평화상이 처음 수여된 뒤 1백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인 데다 한국 입장에선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남북관계 개선 공로로 유력한 후보로 거명되고 있어 궁금증을 더한다.

가이르 룬데슈타트 위원회 사무총장은 "27일 최종회의를 갖고 수상자를 결정했으나 미리 밝힐 수는 없다" 며 "올해는 35개 기관을 포함, 무려 1백50명이나 되는 후보가 올라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고 말했다.

미국의 경우 빌 클린턴 대통령과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지구촌 분쟁을 해결하는 데 광범위한 노력을 펼쳤다는 공로로 후보에 올라 있다.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러시아 전 총리와 마티 아티사리 전 핀란드 대통령은 발칸 사태의 평화적 해결에 노력했다는 공로가, 조지 미첼 미 상원의원은 북아일랜드 사태 해결에 기여한 공이 각각 인정됐다.

구세군도 포함돼 있으며 알바니아 북부 마을 '쿠커스' 는 인구의 수십배나 되는 코소보 난민 15만명을 받아준 공로로 후보에 올랐다.

김대중 대통령은 1987년부터 해마다 후보에 올라 이번이 열네번째다. 올해는 햇볕정책으로 남북의 긴장 완화와 대화국면 조성에 기여했다는 공로다.

그러나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은 북한이 '테러지원국' 으로 묶여 있어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90년대부터는 분쟁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어도 평화정착에 기울인 노력이 인정되기만 하면 평화상을 주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98년 데이비드 트림블과 존 흄이 북아일랜드 사태해결 노력으로, 94년엔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수반과 이츠하크 라빈 전 이스라엘 총리 등이 중동평화 정착 노력으로 각각 수상한 사례가 그것이다.

지난해 노벨 평화상은 프랑스의 '국경없는 의사회' 에 돌아갔기 때문에 올해는 개인이 수상할 가능성이 크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는 9백만 스웨덴 크로네(약 1백만달러)의 상금을 받는다.

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