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일 차이는 '경제 정책 일관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한국.일본 두 나라 경기의 명암이 엇갈리는 가운데 내수를 진작하려면 기업의 투자의욕을 되살리고 일본식 장기침체를 피하기 위한 일관된 경제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4일 '일본 소비회복의 배경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일본 내 소비가 급속히 되살아난 것은 지난 1년 새 공장용지 취득 면적이 40% 늘어날 만큼 기업의 투자활력이 커진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캐논.마쓰시타 같은 디지털 가전업체들이 첨단제품 공장을 자국 영토 안에 짓는 등 해외로 탈출하던 생산시설의 U-턴 현상이 나타날 정도로 투자의욕이 커졌다는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임병준 수석연구원은 "제조업 중심의 대기업들이 설비투자를 늘리면서 부품공급을 맡는 중소기업들의 경기도 덩달아 좋아지고 일자리 또한 늘면서 개인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에 접어든 것 같다"고 평가했다. 반면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투자의욕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그래픽 참조>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날 발표한 10월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99.2로, 지난달보다는 약간 올랐지만 100을 깨진 못했다. 10월 경기가 다른 달보다 좀 낫다는 계절 요인을 감안하면 실제 BSI는 96.1을 기록해 8개월 연속 하락세였다. BSI가 100 미만이라는 것은 경기를 전달보다 어둡게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삼성경제연구소는 "임기응변적인 소비진작 대책보다는 주식.부동산 시장 안정처럼 투자.소비의 불안심리를 근본적으로 잠재울 긴 안목의 경제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홍승일.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