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약분업 대책안 3색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23일 정부.여당의 의약분업 관련 대책안을 전해들은 의료계 인사들은 "정부안이 달라진 게 없다" 며 반발했다.

약사들은 "일부 수용할 수 없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의약분업 시행을 위해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 이라며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 의사협회〓의사협회는 이날 오후 집행부 회의를 열고 "정부가 발표한 내용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 며 기존의 강경한 입장을 누그러뜨리지 않는 분위기였다.

곧이어 열린 전국의사대표자결의대회에서 김재정(金在正)회장이 "회의 결과 폐업 철회 여부를 투표에 부칠 필요도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고 말하자 자리에 모인 3백여명의 대표자들은 박수와 환호로 이에 호응했다.

이재승(李哉昇)연세대 교수협회장은 이 자리에서 "연세대 교수들은 끝까지 의협의 지침에 따르겠다" 며 성금을 전달했다.

의권쟁취투쟁위도 "정부안이 달라진 것 없다.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극한 투쟁도 불사하겠다" 고 반발했다.

반면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관계자는 "당정 대책안이 의사회가 받아들일 만한 수준이다. 의협은 즉각 폐업을 철회하고 복귀하라" 고 말했다.

◇ 병원협회〓지난 15일 결정한 전국 8백70여개 산하병원의 외래진료 중단 방침을 이날 철회키로 한 대한병원협회에는 진료 재개 결정에 반발한 폐업 의사들의 항의 전화가 빗발쳤다.

협회는 성명서에서 "의약분업 반대로 인한 진료중단 사태에 대해 국민에게 사죄한다" 며 정상진료 개시 외에 ▶사법기관의 의료인 구속 즉각 중단 및 고소.고발 취하▶병원계를 배제한 의약분업안 수용불가 등을 결의했다.

◇ 약사회〓정부 대책에 불만스러워 하면서도 의료대란 극복과 의약분업 실시를 위해서는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쪽이 다소 우세했다.

약사회측은 그러나 "일방적인 의사 달래기식 접근방식이라는 느낌이 들어 불만스럽다" 고 반응했다.

약사회측은 특히 "임의조제와 관련, 의약분업 실시 후 문제가 있다면 약사법을 개정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정부가 사전에 개정한다고 못박아두고 접근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 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의약분업은 반드시 시행해야 하지만 현재 감정이 상해 있는 의료계가 일부러 문제를 만들어 약국을 곤란에 빠뜨릴 수 있다" 고 우려했다.

이날 대한약사회에는 대체조제와 임의조제에 관한 정부 방침을 묻는 약사들의 전화가 쇄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