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병원 폐업에 '속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의료계 집단폐업을 하루 앞둔 19일 여야는 자제를 촉구하며 대책 마련에 골몰했다.

그러나 의약분업이 여야가 합의 처리한 관련법에 따른 것인 만큼 7월 1일 예정대로 실시해야 한다는 점에선 대체로 입장을 같이했다.

◇ 한나라당〓목요상(睦堯相)정책위의장 주재로 의약계 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들은 뒤 "7월 1일부터 예정대로 실시하되 당차원의 보완책을 세우겠다" 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대외적으로는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정책 추진과 의.약계의 밥그릇 다툼으로 사상 초유의 의료계 집단폐업 위기가 닥쳤다" 고 여당과 업계를 함께 비난했다.

장광근(張光根)부대변인은 성명에서 "성과에 급급해 여론몰이식으로 정책을 강행한 정부.여당에 책임이 있다" 면서도 "의료계도 국민건강을 볼모로 삼는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 고 촉구했다.

이한구(李漢久)제2정책조정위원장은 "7월 1일 시행엔 이견이 없으나 의약분업에 따른 의보수가 인상으로 1조5천억원의 추가부담이 생긴 만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고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 민주당〓의료계의 목소리를 수렴해 주사제를 의약분업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최선을 다했다는 입장. 때문에 일단 의료계에 폐업 자제를 촉구하면서 '선(先)시행, 후(後)보완' 방침을 밝혔다.

이해찬(李海瓚)정책위의장은 "중립적인 평가조정위원회를 구성, 일단 의약분업을 3개월간 시행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한다는 것이 당정의 방침" 이라고 정부측 입장을 재강조했다.

이의 추진을 위해 당내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책특위를 구성키로 했다.

의료계가 폐업에 돌입할 경우 여론의 지탄을 받을 것임을 경고하면서, 정부측에 비상진료체계 구축 등 대비책을 시급히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 자민련〓정부와 의료계에 "의약분업 실시를 연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적극적 대화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라" 고 요구했다.

김학원(金學元)대변인은 "정부는 당사자들과 더 진지한 자세로 의약분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 의료대란을 반드시 막아야 한다" 며 "의료계도 집단이기주의로 비쳐지는 초강경자세를 접어야 한다" 고 성명을 냈다.

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