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년새 노점상 43% 증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노점상 처리로 서울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도로를 무단으로 점유한 포장마차와 좌판 판매상들을 일제히 정비해 오는 10월로 예정된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등 국제행사 때 깨끗한 서울의 인상을 심어준다는 계획이지만 노점상들의 반발이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4월말 현재 시내 노점상은 모두 1만8천1백91명으로 IMF 직전인 1997년 11월보다 8천여명이 증가했다. 경제난의 여파로 2년 사이 노점상이 43%나 증가한 것이다.

유형별로는 좌판 판매상이 7천2백41명(40%)으로 가장 많고 ▶손수레상 6천23명▶포장마차 1천8백9명▶보따리상 1천3백16명 순이었다.

특히 IMF 전에 비해 포장마차는 60%, 병목지점에 차를 대놓고 음료수와 과일 등을 판매하는 노점상은 48% 늘어났다.

포장마차와 좌판 등을 서너개씩 갖고 있는 '기업형' 노점상도 1백44명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서울시는 오는 9월말까지 강남.서초.송파.용산.종로.성동.중구 등 7개구를 우선 단속지역으로 정했다.

이들이 자진 철置舊?않을 경우 도로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최고 50만원의 과태료를 매긴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노점상들은 "생계수단을 빼앗길 수 없다" 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용산전자상가 앞 포장마차 주인 朴모(52.여)씨는 "당장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려운데 국제행사를 이유로 서민의 밥줄을 끊으려는 것은 서울시의 횡포" 라고 주장했다.

2호선 시청역에서 인형 등 잡화를 파는 좌판상 金모(35)씨는 "노점상은 서민들의 삶을 보여주는 거리의 또다른 문화이기도 하다" 며 "단속이나 철거에 앞서 생계대책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 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달 중순부터 주요 간선도로와 지하철역.이면도로의 노점상에 대해 계도과정을 거쳐 강제 철수시킨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고 밝혀 노점상과의 충돌이 우려된다.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