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동강댐 백지화…조사단 결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강원도 영월댐의 타당성을 조사한 민.관 공동조사단(단장 朴元勳)은 2일 "조사단은 최종 보고서에서 동강지역 생태계의 가치를 인정해 다목적댐 건설은 안된다는 결론을 내린 대신 홍수 방지를 위해 네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고 밝혔다.

조사단은 지난달 19일 국무총리실 수질개선기획단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영월 동강유역은 구석기 유적 등 소중한 문화적 유산과 천연기념물 13종 등 독특한 석회함 생태계를 지니고 있어 댐 건설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반면 대안으로 ▶7억㎥의 다목적댐 대신 3억㎥의 홍수조절 전용댐 건설▶산림 간벌을 통해 토양의 빗물 흡수능력을 높이는 녹색댐 확보▶남한강 유역 홍수 예방을 위해 충주댐 수위를 낮게 운영▶서울 등 수도권 도시 지하에 빗물 저장탱크와 배수터널 설치를 제시했다.

朴단장은 "이들 대안은 아이디어 차원으로, 홍수조절용 댐도 그 중 하나" 라며 "최종 선택은 정부의 몫" 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수질개선기획단은 이달 중 물관리정책과 관련한 민.관위원회, 실무조정위원회, 정책조정위원회를 거쳐 영월댐 타당성에 대해 최종 결론을 내릴 방침이다.

그러나 조사단이 제시한 대안은 전체 조사단원 및 홍수문제 분과 조사위원들간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어서 정부가 최종 결론을 내릴 때까지 환경단체와 수자원공사간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홍수전용댐에 대해 환경단체에서는 "동강 생태계가 파괴되기는 마찬가지" 라며 반발하고 있으며, 충주댐 저수위 운영과 관련해 수자원공사측은 "수자원 부족 문제를 일으킬 것" 이라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조사단 보고서는 또 2011년도에 이르면 한강 수계에서 최대 18억8천만㎥의 물이 부족해질 전망이어서 물값 인상.절수기기 보급 및 물절약을 위한 범국민운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8월 발족한 영월댐 건설 타당성 종합검토를 위한 공동조사단은 물수급.홍수.댐안전.환경.문화 등 5개 분과 33명으로 구성돼 최근까지 조사해 왔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