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부성 원기업 회장 “대리석 전봇대 ? 콘크리트에 디자인 입혔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원부성 회장이 콘크리트 전봇대와 교통 표지석 샘플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했다.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원기업은 콘크리트 전봇대와 하수관(흄관) 등을 만드는 업체다. 넓은 야적장에 회색빛 전봇대가 가득해 전형적인 ‘굴뚝 기업’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회사 원부성(54) 회장의 생각은 다르다. 원 회장은 “콘크리트에 디자인을 접목시켜 부가가치가 높은 신제품을 만들어 냈다”며 “친환경성도 갖춰 굴뚝산업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이 회사의 야심작은 콘크리트에 화강암·대리석 등을 넣어 자연석의 질감과 색깔을 낸 전봇대인 ‘디자인 폴’이다. 원기업은 이 제품으로 지난달 초 열린 ‘2009 공공디자인 엑스포’에서 특별상을 받았다.

원 회장은 “콘크리트는 섞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내고 디자인할 수 있는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자연석 외에 와인병을 재료로 써서 자주색이나 분홍색 등도 낼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전봇대 등에 다양한 기구를 연결해 신호등·가로등·교통표지판 등으로 쓸 수 있게 패키지화했다. 공공디자인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이 커지면서 내년 이후에는 매출이 크게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가 디자인 폴을 만든 것은 콘크리트 전봇대 사업의 한계 때문이다. 전봇대의 유일한 발주처는 한국전력이다. 회사 경영이 한전의 사업 계획에 좌우되는 셈이다. 또 다른 제품인 콘크리트 흄관(원형 하수관)도 건설 경기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신제품을 찾던 원 회장이 아이디어를 얻은 곳은 일본. 3~4년 전 관광지로도 유명한 도쿄 오다이바 신도시 일대에서 다채로운 디자인의 콘크리트 전봇대를 발견했다. 원 회장은 이 제품을 만든 현지 업체와 제휴해 제작 기술을 익혔다.

원리는 전봇대를 만들 때 콘크리트에 다양한 자연석을 섞은 뒤 전용 연마 기계로 갈아 내는 것이다. 자연석의 질감을 되살리려면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길이 10m가 넘는 콘크리트 전봇대를 연마할 때 오차를 1㎜ 안팎으로 줄여야 했다. 원 회장은 기술을 들여오는 데 만족하지 않고 개량을 거듭했다. 시행착오를 거쳐 일본 제품보다 생산성을 4~5배 높일 수 있는 장치 등을 자체 개발, 특허도 6건이나 출원했다.

1964년 원 회장의 선친인 고(故) 원용선 회장이 만든 원기업은 국내에 콘크리트 전봇대를 처음 소개한 업체 중 하나다. 나무 전봇대를 대체한 콘크리트 전봇대는 헐벗은 산이 많았던 당시로서는 친환경 첨단 제품이었던 셈이다. 원 회장은 “콘크리트 전봇대는 철 제품에 비해 제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고 수명이 길어 친환경적”이라며 “디자인 폴을 통해 콘크리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개척하고 싶다”고 말했다.

글·사진=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