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공초기 국정일지 발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시대의 초기 정치상황을 담은 국정일지 15권이 11일 청와대에 의해 공개됐다.

1961년 5.16 군사쿠데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절부터 대통령 재직(63년 12월 취임)중인 68년까지다.

◇ 공개〓 '일지(日誌)' 라고 한자로 적힌 A3 용지 크기의 검은색 겉장을 붙이고, 펜글씨로 조목조목 기록한 이 자료는 이제껏 청와대 도서관에 묻혀 있었다.

청와대측은 "전직 대통령 관련 자료 발굴작업의 일환으로 3개월 전 현대사 학계에 이 일지의 사료적 가치 검증을 의뢰, 당시 통치활동을 기록한 유일한 일지임을 확인했다" 고 말했다.

◇ 내용〓朴대통령의 동향.지시사항.중요 발표 외에도 국내외 정국 상황.주요 행사.인사내용 및 최고회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분야의 동정과 인물에 대한 정보수집 내역까지 정리해놨다.

박정희 의장의 미(美) 제7함대 항공모함 비공개 시찰 (61년 10월 18, 19일) 이나 각 정당 및 사회단체 동향 내사 (61년 9월 7일) 등 당시 신문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기밀사항도 기록돼 있다.

최고회의 초기에는 외교를 제1항목으로 두어 최고회의가 쿠데타 후 국제 여론에 민감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으며, 식량대책회의도 빈번하게 열려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61년 9월 4일에는 국가재건회의에서 다방에서 커피원두를 판매하면 혁명분위기를 깨뜨리는 결과가 재래(再來)되므로 역수출하도록 해야 한다는 결의를 하는 등 시대간 인식의 간격을 보여주기도 한다.

일지 첫 장인 61년 5월 16일 혁명란에는 "미명(未明) 군부에서 무혈혁명, 군사혁명위원회 설치하고 정권 인수를 선언, 전국에 비상계엄령, 혁명위 각급회의를 소집하고 전 국무위원을 체포할 것을 명령…" 이라고 씌어있다.

김종필(金鍾泌)공화당 창당준비위원장이 4대 의혹사건 책임을 지고 '자의반 타의반' 외유를 떠난 63년 2월 25일에는 "김종필씨 박의장의 특명 전권 순회대사로 외유 등정. 버마, 토이기, 구주 등 역방(50일 예정)" 이라고 적혀 있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