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당 끌어안는 DJ…野 견제 포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잇따라 소수정파 대표들과 만난다.

지난달 29일 한국신당 김용환(金龍煥)중앙집행위 의장과 조찬회동을 했다. 1일에는 민국당 김윤환(金潤煥)최고위원을 청와대로 초청했다.

이에 대해 남궁진(南宮鎭)정무수석은 "金대통령이 정치의 틀을 바꾸려 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어느 당도 국회 내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경쟁과 협력의 정치를 해야 한다" 는 것이다.

'여소야대(與小野大)의 양당구도' 를 관리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란 뜻이다.

16대 의석이 1석(한국신당).2석(민국당)에 불과한 당 대표와 대통령이 단독회담을 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더구나 金대통령은 김용환 의장에게 "소수의 의견이 존중되는 참된 민주정치" 를 다짐하기도 했다. 또 필요하면 수시로 만나기로 약속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6월의 평양 남북 정상회담이란 민족적 거사를 앞두고 국민적 지지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것" 이라고 말했다.

그만큼 평양 정상회담에 거는 金대통령의 기대가 크다는 것. 국회 내 의석을 따져봐도 金대통령이 단 '한석' 이라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이유를 알 수 있다.

민주당(1백15석)과 자민련(17석), 그리고 호남권 친여(親與)무소속 4명을 합쳐도 1백36석으로, 과반(1백37)에서 한석이 모자란다. 국회 표결에서 과반을 넘기느냐는 소수정파의 '한표' 에 달려 있는 셈이다.

소수정파에 대한 金대통령의 존중의지는 한나라당과 대립이 격화돼도 과반수를 확보할 기반을 마련해 놓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것은 한나라당을 압박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그러나 "민주당이 소수정파를 흡수하는 식의 정계개편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고 이 관계자는 강조했다. 자민련의 협조가 불투명한데다 한나라당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소 상태는 정국파란의 책임을 분담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정국 상황이 가팔라질 경우 정계개편의 명분이 생긴다는 계산이다.

청와대 고위참모는 1998년 정권출범 때 'JP총리 임명안' 의 국회 동의가 늦어지면서 정계개편에 대한 여론의 거부감이 줄어들었던 경험을 상기했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