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공식 확인] 확산 파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경기도 파주에서 발생한 괴질이 '구제역' 으로 공식 확인됨에 따라 국산 돼지고기의 해외수출 길이 막히고 소비기피로 가격폭락이 예상되는등 1980년대 소값 폭락파동 이후 최악의 축산파동이 우려되고 있다.

1934년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이후 66년만에 발생한 이번 구제역은 앞으로 세계적인 가축전염병 전문 연구기관인 영국 퍼브라이트연구소에 의뢰한 검사결과가 나오면 국제적으로 공인될 전망이다.

◇ 수출중단 피해〓대표적인 수출품목인 돼지고기의 대일 수출이 중단되면 국내물량 적체→국내가격 하락→양돈농가 사육두수 감축과 양돈업 포기속출→사료.동물약품.축산기자재.유통업계 위축 등 관련산업에 연쇄적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국내 돼지고기 공급량은 모두 70만1천3백65t으로 내수가 62만1천t(89%), 수출이 8만2백65t(11%)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일본에 집중된 돼지고기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도 3억4천7백만달러에 달하는데, 수출중단으로 올해 무역흑자목표 달성에도 3억달러이상의 차질이 우려된다.

특히 돼지콜레라 청정지역으로 선포한 제주도지역의 수출 길이 막힘에 따라 국산 축산물의 이미지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고있다.

이와 함께 사료.동물의약품.축산기자재 업계뿐 아니라 축산농가.유통업계 등으로 파장이 이어지면 전국민이 이번 구제역 사태의 여파를 실감케 될 전망이다.

◇ 원상회복에도 상당기간 소요될 듯〓OIE의 규정에 따르면 우리나라처럼 구제역이 발생한 적이 없었던 '비발생국가' 에서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청정상태로 환원됐음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마지막 예방접종 가축까지 모두 도축한 뒤 3개월이 지나야 한다.

구제역 발생시 도살처분과 혈청검사 등의 조치만을 취할 경우에는 최종 발생후 3개월만 지나면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0㎞이내 가축에 대해 긴급예방접종까지 실시했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받은 가축이 모두 도축돼야만 청정지역으로 인정받게 돼 도축기간을 포함, 최소한 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 정부 대책〓정부는 돼지고기가 수출량(8만여t)보다 수입량(14만2천t)이 훨씬 많기 때문에 소비자와 생산자간의 긴밀한 협력으로 수입 돼지고기를 국내산 돼지고기로 대체하는 정책을 활용하기로 했다.

특히 예방접종을 받은 가축들이 시중에서 유통되기 어려운 점을 감안, 축산농민들이 원할 경우 전량 정부에서 수매해 비축물량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가격하락을 우려한 일선 농가에서 소.돼지의 홍수출하가 이어질 경우 가격폭락은 물론 소.돼지고기 기피현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이에따라 당국은 구제역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사실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나 이번 파문의 악영향은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