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연대, 발표 앞두고 고심…主타킷 따로 선정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총선연대가 4월 3일로 예정된 낙선대상자 명단발표를 앞두고 '낙선율' 과 '원칙' 사이에서 목하 고심 중이다.

원칙대로 하자니 대상이 너무 많아 결과적으로 낙선운동의 효과가 없고, 그렇다고 잣대를 고무줄처럼 늘리거나 줄일 수도 없다.

이에 따라 총선연대 지도부는 연일 낙선대상자 규모와 선정기준.낙선운동 방법을 둘러싸고 숙의를 거듭하고 있다. 총선연대가 이달 중순 밝힌 낙선리스트 선정기준은 ▶부패 전력▶선거법 위반▶반인권 전력 등 낙천명단 선정기준 외에▶지역감정 조장▶공명선거 위협▶납세 및 전과기록 허위신고 등에 가중치를 두겠다는 것. 여기에 지역 의견과 정서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총선연대는 이와 관련, 지난 26일 7시간에 걸친 야간 마라톤회의를 비롯해 그동안 세차례에 걸친 대표자 회의에서 선정기준 및 명단규모를 놓고 격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가장 고심하고 있는 것은 명단의 규모.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니 명단에 오른 후보 숫자가 매우 많다는 것이다.

공천철회 대상이 됐던 61명의 후보에 이번 선거에서 쟁점으로 부각된 세금탈루.병역면제 후보와 지역 총선연대가 제시한 블랙리스트를 포함하니 1백여명선에 이르더라는 것. '

총선연대 관계자는 "낙천리스트와 달리 낙선리스트는 낙선운동과 선거결과에 부담을 지기 때문에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고 말했다.

문제가 있는 의원을 모두 발표했을 경우 유권자들에게 강하게 부각되지 못하고, 총선연대의 낙선운동 역량도 다수 후보에게 분산돼 효과가 크게 떨어질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지역단체의 의견을 대폭 반영하다 보니 지역별로 적용기준이 달라지게 되는 것도 고민거리다.

현재 총선연대가 고려하고 있는 대안은 낙선기준에 부합되는 후보는 모두 발표하되 국민의 지탄이 집중되는 소수 후보를 별도로 선정, 집중적으로 낙선운동을 한다는 것. 총선연대 최열 대표는 "대상자가 선정되면 영남.호남.충청.수도권의 4개 권역으로 나눠 특정단체와 명망가들을 낙선운동에 집중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 이라고 밝혔다.

낙선운동은 최대한 합법적으로 펼쳐나가되 경우에 따라서는 시민 불복종운동 차원의 불법적인 방안도 동원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후보측 및 선관위와의 마찰도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가두 서명운동과 거리 캠페인은 물론 총선연대 지도부들이 낙선리스트를 적은 가운을 입고 거리로 나서는 방법도 고려 중이다.

총선연대는 낙선리스트 발표때 교육.환경.여성 등 부문별.지역별 대표 1천여명이 결집한 대규모 행사를 함께 벌임으로써 그동안 수그러들었던 국민적 지지를 부활시킨다는 전략이다.

문경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